이환희
[한국심리학신문=이환희]
사진 출처: Pixabay
당신은 살아가는 데 있어서 외로움을 얼마나 느끼는가? 외로움은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감정 중 하나이다. 이 감정은 우리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우리의 삶의 질을 저하할 수 있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외로움을 느끼고 이에 맞서 살아가기도 하지만, 외로움을 건강하게 해소하는 것은 우리의 행복과 건강을 위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외로움의 부정적인 영향과 이를 해소하려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외로움의 숨겨진 위험
외로움은 우리의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외로움은 우울증, 불안장애, 자살 생각 등의 정신 건강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데 우리의 자아 존중감을 저하하고, 사회적 연결감을 상실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우리의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우리의 삶의 만족도를 저하할 수 있다. 외로움은 익숙해질 수는 있겠지만, 방치되거나 계속된다면 존재로서 살아갈 가치를 잃게 된다.(Reger et al. 2020) 더불어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고립이나 소속된 집단으로부터의 소외감은 우울이나 외로움 같은 부정 정서를 느끼게 하며, 이는 삶을 무의미하게 느끼게 하여(Twenge, 2003) 자살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한다.(Gratz et al. 2020)
외로움은 우리의 신체적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심장 질환, 면역 기능 저하, 수면 장애 등의 신체적 건강 문제와 연관되어 있으며, 우리의 스트레스 수준을 증가시키고, 우리의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면역계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염증과 높은 사망률과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다수 있음을 우리는 쉽게 접할 수 있다.
외로움에 극복하는 법
외로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연결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적 연결은 우리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우리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하고 우리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우리의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고, 우리의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외로움을 제대로 해소하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양질의 인간관계와 사회적 지지망이 부족한 것에서 오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보자) 그러니 나의 속마음을 편히 털어놓을 수 있는 친구가 한 명쯤은 있는 게 좋다.
이외에도 자기 돌봄과 자기 존중감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기 돌봄은 우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기 존중감은 우리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하고 우리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생활 방식을 바꾸는 것도 외로움 해소에 있어서 중요하다. 우리의 생활 방식을 바꾸면 우리의 신체적 활동을 증가시키고 우리의 정신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식습관과 수면 패턴 등의 개선이 있다. 그렇게 점점 삶의 균형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해 나갈 수 있다.
외로움이란, 결코 나약함이 아니다
앞서 말했듯이 외로움은 우리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연결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기 돌봄과 자기 존중감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의 생활 방식을 바꾸면, 우리의 사회적 연결과 자기 돌봄을 향상할 수 있고, 외로움을 올바르게 해소하는 것은 우리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사고의 전환이 때론 필요하다. 외로움은 마치 내게 찾아오는 선물 같은 시간이 될 수도 있다. 잠시 나를 돌아보며 나에게 온전히 집중하는 시간 말이다. 그동안 다른 무언가에 지나치게 의지하거나, 신경쓰며 살았다면 이제는 혼자만의 고독을 즐겨야 하는 순간이 찾아왔다고 생각하자. 자신에게 소홀했다면 소홀했던 지난 날을 떠올려 나를 더 보듬어주고 아껴주자. 내안의 '나'가 원하고 바라는 게 무엇인지 귀 기울여보자. 스스로를 돌아보며 사색의 시간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은 단단해 보이는 법이다.
글을 통해 앞으로 마주하게 될 외로움을 의연하게 대처하길 바란다. 묵묵히 견뎌 시간에 맡기는 방법도 있겠지만, 적절한 개입과 해소가 꼭 필요함을 알아야 한다. 걷잡을 수 없을 만큼 커져 버리고 상상하지 못할 만큼 내 전부를 집어삼킬 수 있는 이 외로움이란 참 심각하고 무서운 감정이다. 그러나 외로움이란 결코 나약함을 뜻하지 않으며, 당신이 더 단단해지고 강인해지기 위해 겪는 감정이자 과정일 수 있음을 말하고 싶다. 긍정의 마음으로 나아간다면 삶의 도전에 대처하는 법을 배워나갈 수 있고 자기 개발과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은 분명 생각보다 강한 사람이고, 이겨낼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진 사람이라고 필자는 글을 읽는 그대에게 전한다.
참고문헌
동아사이언스. (2024). https://n.news.naver.com/article/584/0000026893
최현주, 김민정. (2023). 외로움과 삶의 의미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신경증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정신의학신문. (2023)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4406
정신의학신문. (2020).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0034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5419dlgks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