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한약사회와 여성긴급전화1366·청소년상담1388 알린다 - 대한약사회와 협업하여 전국 약국 300개소에서 여성긴급전화1366‧청소년상담 1388 홍보 문구 인쇄된 약포장지, 각대봉투 90여만개 제작·배포
  • 기사등록 2024-05-28 00:21:03
기사수정


여성가족부는 대한약사회(회장 최광훈)과 여성긴급전화 1366, 청소년상담전화1388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약봉투를 활용한 ‘1366‧1388’ 알리기 캠페인을 진행한다. 


여성가족부와 대한약사회가 협업으로 추진하는 이번 캠페인은 약포장지와 각대봉투*에 폭력피해자 초기지원 창구인 여성긴급전화 1366 및 청소년 상담 창구인 청소년상담1388의 전화번호와 각 상담창구별 서비스 내용을 인쇄해 약국을 방문한 소비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1366과 1388을 알 수 있도록 기획했다. 

    * (약포장지) 조제약 포장용, (각대봉투) 일반 의약품 포장용


약포장지에는 여성폭력피해자와 위기청소년을 위한 365일 24시간 전화번호(1366, 1388)와 카카오톡 등을 통한 온라인 상담 및 긴급피난처 제공, 의료, 무료법률 연계와 같은 지원 서비스를 소개한다.


또한, 휴대전화로 정보무늬(QR) 코드를 촬영하면 여성긴급전화1366과 청소년1388 누리집으로 바로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성긴급전화1366은 가정폭력·성폭력·성매매, 스토킹·데이트폭력·디지털성폭력 등 폭력피해자들을 위해 피해 상담과 긴급보호 서비스 등을 지원하는 폭력피해자 초기지원 창구로 365일 24시간 운영한다.

    * 전화로 지역번호+1366 연결, 카카오톡 채널에서 women1366 검색, 또는 사이버상담 누리집(www.women1366.kr) 접속


청소년상담1388은 청소년의 일상적인 고민부터 가출, 학업중단, 인터넷 중독 등 위기상황까지 365일 24시간 상담해 주는 창구로 문자, 카카오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라인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위기청소년 맞춤지원 정보 및 시설 찾기, 온라인 신청, 365일 24시간 고민상담 등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 서비스 제공기관*별로 제공하고 있던 위기청소년 지원 정보를 ‘청소년1388 포털(www.1388.go.kr)’ 하나로 통합하여 5월부터 본격 운영하고 있다.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청소년쉼터, 청소년자립지원관, 국립청소년디딤센터/드림마을,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등





출처 : 여성가족부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717
  • 기사등록 2024-05-28 00:21: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