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누리
[한국심리학신문=나누리 ]
'오늘 난 특별하게 드레스 업 하길 원해 왠지 내가 아닌 것 같아 Yeah'
해당 문장은, 솔로 가수 '현아'의 노래 'lip & Hip'의 도입부 노래 가사입니다. 가사에서는 색다르게 변신하는 '나'를 보고 이전의 나와 대비감을 느끼며 흥겨워하는 느낌에서 붙여진 가사지만, 실제로 우리가 '내가 내가 아닌 것 같아'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 마냥 신이 나고 유쾌한 상황은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이러한 증상은 정신병적인 증상 '이인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굉장히 생소하게 들리실 분도 계실 것 같은데요, 이인증은 스스로가 자기 몸과 마음에서 분리되어 있거나, 관찰자의 시점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듯한 증상을 경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인증을 앓는 환자들은 '비현실감'을 느끼며, 만성적인 이인증은 해리성 장애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이인증과 비현실감은 무엇일까?
이인증과 비현실감은 함께 올 수도 있고 따로 올 수도 있는데, '이인증'에 노출되면 흔히 '내가 아닌 것 같아'라는 생각이 들고, 나와는 분리된 또 다른 무언가가 생각, 감정을 대신 느낀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 처하면 사람은 놀라고, 불안해집니다.
비현실감은 갑작스럽게 시간, 장소, 물건 등의 개념이 혼동되는 증상을 이야기합니다. 세상과 단절되어 있는 느낌을 순간 받으며, 꿈꾸는 느낌을 받는 것이 특징입니다.
전쟁 영화나 영웅물에서 주인공이 정말 위험한 상황에 빠졌을 때 멍하니 그 상황을 바라보는 연출도, 이러한 '이인증'의 증상이 발현된 예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나 비현실감이나 이인증은 일종의 '방어기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데요, 방어기제는 자신의 자아가 외부의 어떤 상황을 통제하지 못할 때 이에 따라 생기는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발현되는 심리적 작동을 의미합니다.
해리성 장애
만성적인 이인증이 해리성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앞서 설명해 드린 바가 있으니, 이제는 해리성 장애가 무엇인지에 대해 대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해리성 기억장애로, 외상 또는 스트레스에 의해 수일에서 수년까지 일정 기억을 상실해 기억 상실이 발생해 과거의 충격적 기억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증상입니다. 우리가 드라마에서 자주 접한 '교통사고 후 기억을 잃어버린 주인공'에게서 확인할 수 있는 증상이기도 하며, 이러한 해리성 기억상실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해리성 정체성 장애를 불러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합니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경우 가장 친밀한 예시로 '지킬과 하이드'의 사례를 들 수 있습니다.
이인증/비현실감의 발생원인
이인화와 현실감 상실 장애의 가벼운 증상은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측면이 있습니다. 심하게 피곤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을 경험한 후에 일시적으로 주변 환경에서 분리된 기분을 느끼는 것은 꽤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저절로 나타나거나, 지속적,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라는 병명을 부여받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인증의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한 사람에게 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1)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나 방치
2) 신체적 학대
3) 가정 폭력을 경험하거나 목격
4) 부모 중 한 명이 심한 장애 or 정신 질환을 가지고 있을 경우
5) 사랑하는 사람의 예상치 못한 사망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의 치료 방법
그렇다면, 위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 이인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하면 좋을까요?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는 다른 정신 질환과 달리 치료 없이 증상이 사라지기도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장애가 지속, 재발하거나 고통이 동반될 시 인지 기법, 행동 기법, 현실 적응 기법, 정신 역동적 기법, 해리 및 정동의 추적 기법 등의 사용이 효과가 있습니다.
만약, 이 글을 읽으며, 자신이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다는 생각이 들어도, 크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인화의 증상이 반복되거나 지속되더라도, 자기 감각에 너무 깊이 빠져들어 생각하기보다, 다양한 생각을 하고 다른 활동이나 생각에 집중할 수 있다면 비교적 치료의 예후가 좋고, 더 고질적인 정신 질환을 초래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Wikipedia, "이인증",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9D%B8%EC%A6%9D
Youtube, "갑자기 비현실적인 느낌 드셨던 분? #이인증이라고 아시나요?", https://www.youtube.com/watch?v=vzHlXCsuQy0&t=379s
David Spiegel, MD,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nanuri040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