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완
[한국심리학신문=유수완 ]
원영적 사고라는 밈, 요즘 많이 들리는 이야기이다. 인기 아이돌 장원영 양이 한 빵집에서 자신의 차례 바로 앞에서 빵이 전부 팔려버려서 바로 빵을 사지 못하고, 새로 빵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갓 나온 빵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하며 운이 좋다고 이야기한 일화로 인해 생긴, 어떤 좋지 않은 일이 있어도 그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생각, 태도를 일컫는 유행어이다. 비슷한 예로 ‘오히려 좋아’, ‘When life gives you lemons, make lemonade - 인생이 당신에게 레몬(여기서는 부정적 뜻을 가짐)을 준다면, 그것으로 레모네이드를 만들어라’ 등의 말도 혹 자신의 뜻대로 흘러가지 않고 부정적인 상황이 오더라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그 상황을 극복하라는 메시지를 전하는, 긍정적 에너지를 주는 말들이다.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단순히 기분이 좋으니까, 혹은 자신이나 타인에게 도움이 되니까 좋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 수 있는 것이다. 조금 더 파고 들어가서, 왜 긍정적 사고는 사람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여기에서 필자는 ‘내 안의 긍정을 춤추게 하라’, ‘긍정의 발견’의 저자인 Fredrickson의 확장-구축 이론을 소개하고자 한다. 긍정의 선순환을 설명하는 이 이론은 긍정적 정서, 즉 기쁨, 사랑, 행복과 같은 정서 그 자체가 개인이 사고와 행동을 확장하는 것에 영향을 주고, 그렇게 확장된 사고와 행동은 다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양분을 쌓는 것에 도움을 준다. 그를 통해 차곡차곡 쌓인 개인의 긍정적 자산은 결국 그 사람이 삶을 살며 원하는 것을 성취하는 것에, 또 성장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그러한 경험은 개인에게 있어 더 많은 긍정적 사고와 정서를 유발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으로써 긍정은 선순환 된다는 것이다. 이는 작은 긍정의 씨앗이 큰 나무로 자랄 수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긍정적 사고를 하려는 노력은 시도해 볼 가치가 충분한 것이다.
사람은 항상 긍정적으로만 살아갈 수는 없다. 사실, 어느 정도의 부정적 사고 또한 사람이 살아가는 것에 있어 필요한 자양분으로 적용된다. 하지만, 부정적인 태도로 삶을 살기보다 긍정적 태도를 지향하는 것이 우리의 삶에 더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실제로 부정적 사고보다 긍정적 사고를 더 많이 하는 사람이 신체적으로도 건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Alan Rozanski 미 병원의 심장내과 교수는 자신의 연구에서 심장병이 가지는 가장 위험한 합병증들이 발병할 확률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에게 있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35%나 적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유지하는 사람이 심장병, 뇌졸중, 심장마비로 인한 사망 위험에 덜 노출된다고 밝혔다.
'긍정의 과학’ 저자인 Lorreta Breuning 박사는 긍정적 경험이 우리가 삶을 사는 것에 큰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고 한다. ‘할 수 있다’, ‘잘 될 것이다’, ‘생각대로는 되지 않았지만 오히려 괜찮다’ 등의 긍정적 사고로 인해 우리는 어떤 목표를 세우고, 동기를 가지며 생각을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나는 못해’, ‘안 될 거야’, ‘생각대로 되지 않았잖아. 실망이야’ 등의 부정적 생각을 하게 되면, 우리는 그다음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르고 길을 잃고 만다. 그에 할 수 있었던 것 보다 못한 결과를 내기도 하고, 아예 있었던 목표를 놓치기도 한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상황에 당면한다. 내 순서 바로 앞에서 먹고 싶었던 빵이 다 팔릴 수도 있고, 버스가 간발의 차이로 가버려 놓치게 될 수도 있고, 누군가에게 오해를 살 수도, 직장에서 실수를 할 수도 있다. 그러한 많은 상황 속에서 부정적인 결과에 주목하기보다는, 긍정적인 면을 찾아서 이후에 어떻게 해야 할지를 그려보는 것이 어떨까? 갓 나온 빵을 먹게 될 수도, 널찍한 버스 자리에서 편하게 앉아 갈 수도 있다. 대화를 하며 오해를 푸는 과정에서 더 좋은 관계를 맺게 될 수도 있고, 한 번 해본 실수를 다시 하지 않게 되며 성장할 수도 있다. 긍정적 사고는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그리고 신체적으로도 더욱 나은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열쇠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행복의 선순환: Fredrickson의 확장-구축이론”.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2021년 5월 10일. https://happyfinder.co.kr/post/%ED%96%89%EB%B3%B5%EC%9D%98-%EC%84%A0%EC%88%9C%ED%99%98-fredrickson%EC%9D%98-%ED%99%95%EC%9E%A5-%EA%B5%AC%EC%B6%95-%EC%9D%B4%EB%A1%A0/
“긍정적 사고방식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나이키 코리아. 2022년 12월 7일. https://www.nike.com/kr/a/what-a-positive-mindset-can-really-do
김선희. “긍정적인 생각이 ‘건강한 삶’에 유리한 이유”. 하이닥 뉴스. 2019년 9월 30일. https://mobile.hidoc.co.kr/healthstory/news/C0000479857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uwan182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