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정신 질환자"라는 단어는 종종 주변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위험한 미치광이들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게다가, 미디어에서 정신 질환에 대한 묘사는 종종 이러한 선입견을 강조하기도 하고, 우리 사회가 정신 질환자들을 맹목적으로 "이상하다"고 "미쳤다"고 부르도록 내버려 두는 것도 정신병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흔한 고정관념으로 자리 잡혀 있다. 



정신과적 진단의 영구적 영향 


사실, 정신과적 진단은 단순한 진료 기록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도 있고, 개인들의 관계나 미래의 직업 전망에 영향을 미치면서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길 수도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정신과적 기관, 보다 넓게는 우리 사회의 개인들이 "정신 질환" 환자들을 다룰 수 있는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중요하다.



로젠한 실험: 정신과 진단의 허구성


1973년에 실시된 로젠한 실험은 정신과적 진단에 대한 불안한 진실을 공개한다. 이 실험을 위해 8명의 가짜 환자가 거짓 증상을 보고함으로써 정신과 병동에 입원했고 이후 정상적으로 행동했다. 만약 그 기관들이 정말로 믿을 만했다면, 그 가짜 환자들은 즉시 퇴원했어야 했지만, 실제로는 그들이 퇴원하는 데 무려 52주가 걸렸다.



임포스터 실험: 진단의 주관성 


같은 이유로, "존재하지 않는 임포스터 실험"이라고 불리는 후속 연구는 정신 기관에 대한 회의를 증폭시켰다. 이 실험을 위해, Rosehan은 193명의 사람들을 유명한 병원으로 보냈고 병원 직원에게 숨겨진 가짜 환자를 찾도록 요청했다. Mental Health Matters에 따르면, "41명은 임포스터로 간주되었고 추가로 42명은 의심스러운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의사들의 추측과 달리, 실제로 Rosenhan은 0명의 가짜 환자를 보냈고, 이것은 임상의의들의 판단이 그들의 개인적인 편견과 주관적인 해석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대체로, 두 연구 모두 정신 질환자의 진단에 중대한 결함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우리 사회는 건강한 치료에 도움이 되는 더 효과적인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정신 질환 및 정신 질환자와 관련된 오명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신 질환의 다양성과 개인적 경험 


정신질환은 매우 광범위하고, 그 증상과 영향에 대한 경험은 사람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우울증, 불안장애, 조현병, 조울증 등은 치료에 대한 독특한 특성과 접근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신질환자를 하나의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은 옳지 않다.



낙인과 차별을 대처하는 자세 


정책을 통해 정신적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하나의 중요한 방법이다. 정부와 지역사회에 의한 가시적 정책 및 절차 개발은 정신 건강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도는 정신 질환에서 고통 받는 사람들이 필요한 보살핌을 받고 사회적 괴롭힘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해준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일은 무엇이 있을까? 바로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정신질환자'라는 단어는 언뜻 보면 나쁜 인상을 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중립적이고 정중한 표현으로 대체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예를 들면, ' 정신 건강을 겪는 사람'이라는 표현은 '정신 잘환자'의 표현 보다 더 존중과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표현들을 신중하게 고려한다면 낙인을 줄이고 더 중립적이며 존중하는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정신 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더 인간적으로 대할 수 있도록 하자. 



현재, 더 나은 치료와 지원 네트워크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다시 일어서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우리는 정신 질환과 싸워 회복한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기도 한다. 이러한 긍정적인 사례들은 정신 질환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더 나은 지원을 제공하는 사회의 능력에 크게 기여한다.우리 문화는 정신질환을 둘러싼 낙인과 이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낙인을 낮춰야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든 사람이 정신적으로 잘 살 수 있도록 독려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참고문헌

“Mental Health Stigma: What Is It and Why Should You Care? - PSL.” Port St. Lucie Hospital, 9 March 2024

Rosenhan, D. L. (1973). On Being Sane in Insane Places. Science, 179(4070), 250-258.

Slater, L. (2004). Opening Skinner's Box: Great Psychological Experiments of the Twentieth Century. W. W. Norton & Company.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d.). Mental Health Information.

  • Corrigan, P. W., & Watson, A. C. (2002).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tigma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World Psychiatry, 1(1), 16-20.
  • Thornicroft, G. (2006). Shunned: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Mental Illness. Oxford University Press.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 Corrigan, P. W., & Shapiro, J. R. (2010). Measuring the Impact of Programs that Challenge the Public Stigma of Mental Illnes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8), 907-922.






기사 다시보기  

믿음은 과연 자발적일까?

디지털 표현형: 정신건강관리의 패러다임 변화

타로 카드 수수께끼

심리학으로 바라보는 인간 행동과 발달

어릴 적 기억이 나지 않는 이유는 뭘까?

건강의 다양한 차원

인간관계에서 상처 받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은?

잠을 더 자도 더 피곤하다?

S와 N?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832
  • 기사등록 2024-07-04 19:35:0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