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가은
[한국심리학신문=김가은 ]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색상은 무엇인가? 또는 지금 당장 시선을 사로잡는 색상이 있는가? ‘색상’은 빛이 부리는 마법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상황에 따라 주관적이며, 사람마다 이를 지각하는 정도도 미세하게 다를 수 있다. 색채심리학자들은 색이 감정과 신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수많은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자연과 닮은 초록색을 보면 눈이 편안해진다거나, 여름에는 시원해 보이는 파란색이 유행한다거나 하는 현상이 일상생활에서 단적으로 보여지는 예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제시된 색상이 감정과 신체에 미치는 영향만 있는 것이 아니다. 색채심리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선호하는 색상을 통해 그 사람이 가진 기질과 특성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등장하고 있다. 아래에 제시되는 색 중 자신이 선호하는 색이 있다면 본인의 성격과 유사한 부분이 있는지 대조해 보는 것도 흥미롭겠다.
성격과 색상의 상관관계
좋아하는 색으로 성격이나 심리 상태를 맞춘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허황한 말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해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수많은 논문이 이를 뒷받침한다.
2022년, 한양대학교 하정희 교수가 20~60대 사이의 다양한 연령과 성별을 가진 한국인 584명을 대상으로 성격과 색채 선호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설문지 연구를 진행했다. 첫 번째로 연구진은 참가자들에게 화면에 제시되는 10가지의 색상을 선호 정도에 따라 1~10까지의 번호를 매기며 나열하도록 지시했다. 이후 Big 5 성격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인 TIPI(Ten item personality inventory) 검사를 진행함으로써 참가자들의 성격 요인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제로 외향성을 제외한 나머지 4가지 성격 요인과 선호하는 색상 사이에는 큰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각 성격 요인의 수준이 강할수록 연구를 통해 드러난 요인별 선호 색상에 더욱 높은 점수를 매기는 경향이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예를 들어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고 받아들이는 성향인 개방성이 높은 사람의 경우에는 초록색, 보라색, 또는 하얀색에 대한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실성이 높은 사람의 경우 밝은 파란색, 즉 하늘색에 대한 선호가 평균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에 속했다.
노란색, 이성에 가까울까, 감성에 가까울까?
위의 연구에서 우호성 수준이 높을 참가자일수록 노란색에 대한 선호가 강한 경향성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노란색에 대한 선호의 경우 이와 같은 주제를 가진 다양한 연구에서도 일관적으로 높은 우호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많은 고전 작품과 역사에서 노란색은 이성, 지혜, 신성함 등을 상징하는 색상으로서 이성, 사고 등의 ‘Thinking’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어 왔다. 다시 말해, 전통적으로 감성보다는 이성적이고 냉철한 성향을 나타내는 것에 가까운 색상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상주의 시대 고흐의 작품인 ‘해바라기’에서 쓰인 노란색은 화가 자신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마음을 진정시키는, 즉 감정과 관련이 있는 역할을 했다. 이 외에도 노란색이 쓰인 작품들은 대체로 따뜻하고, 안정감을 주는 분위기인 작품들이 매우 많다. 최근의 다양한 연구에서는 노란색이 ‘Thinking’ 영역보다는 ‘Feeling’ 영역에 더 큰 상관을 가진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다.
색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다
색채는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분야들도 적지 않다. 인테리어 시 건물의 사용 용도에 따라 공간의 주 색채를 변경하거나, 미술 심리치료 장면에서 다양한 색채를 활용하는 등 수많은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색은 따뜻하거나 차갑거나, 차분하거나 활동적인 느낌 등 다양한 분위기와 이미지를 만드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색채가 감정에 미치는 영향뿐만이 아니라 현재 자신의 감정이나 고유 성향이 색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게 된다면 개인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또 하나의 효과적인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차정민, 정영진. (2018). 색채선호와 심리적 성향과의 관계 연구 -노란색 선호를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25(4), 507-523.
Jue J and Ha JH (2022)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and color preferences. Front. Psychol. 13:1065372. doi: 10.3389/fpsyg.2022.1065372
기사 다시보기
고민은 이제 그만!' 내가 고르는게 항상 최고인 과학적 이유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kke200408@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