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나누리 ]


위키피디아, '레밍'

위 사진의 귀여운 동물을 보세요. 이 동물의 이름은 '레밍'입니다. 작은 설치류 과이며, 북유럽, 북미 등에 많이 서식합니다. 이 동물의 습성 중 한 가지가 우리가 오늘 이야기할 주제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레밍은, 서식지를 찾아 이동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이 과정에서 이른바 '집단 자살'처럼 보이는 행위를 합니다. 우두머리 레밍이 절벽 아래로 뛰어내리면, 뒤를 따르던 레밍들도 함께 뛰어내리는 현상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레밍의 습성을 참고해 인간이 혼자일 때에는 이성적 판단하지만, 집단 속에서 비이성적 사고, 행동을 하는 현상을 '레밍 효과'라고도 부르기도 합니다. 이러한 군중 심리는 부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는 말이라고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인간의 진화 과정 속 '군중 심리'는 큰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셨나요?



군중심리와 인간의 삶


사회심리학자 무자퍼 셰리프는 사람들이 어떻게 '사회적 규범'을 형성하는지를 알아보고자 동조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피험자들이 암실에서 불빛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도록 하였는데, 실제로 불빛은 움직이지 않았으며, 착시를 일으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개인별, 그룹별로 실험 결과를 측정했을 때, 혼자보다는 그룹으로 실험했을 때 피험자들의 의견 사이의 일치가 더욱 강하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A와 B가 각각 불빛의 움직임 정도를 평가할 때는 A는 5cm, B는 15cm라고 말했다면, 둘이 한 그룹으로 묶였을 때는 두 사람 모두 10cm라는 답을 내놓았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군중심리'는 왜 인간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요?



군중 심리의 과학적 근거


뇌신경학자 비토리오 갈레세는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에 정신화 과정이 늘 필요하지 않으며, 

전운동피질 내의 '거울 운동 뉴런'에 의해 타인의 행동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거울 운동 뉴런은 관찰만으로도 상대와 동일한 행위를 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며, 그런 작용은 무의식적 모방심리로까지 이어집니다. 이러한 인간의 동조 행위는 단순히 천적을 피하거나, 위험한 먹이를 구분하는 등의 생존의 차원을 넘어서, 정치/경제/문화 등의 다양한 양상을 띠기도 합니다. 이러한 동조와 결속으로 인해 문명의 발전을 이끌고 결국 인간이 타 동물과 차이점을 가지고 살아가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입니다.



군중 심리의 이면


물론 군중 심리에도 부정적인 면이 당연히 존재합니다. 라는 책의 저자 귀스타브 르 봉은, 개인이 모여 군중을 이루면 개인으로 존재할 때처럼 합리적/이성적으로 사고하지 못하며, 군중의 '그림자'로 들어가는 순간 '광기'를 가지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딱히 논리적인 이유를 가진 것도 아니면서, '집단 최면'에 걸린 듯이 과민하고 충동적으로 비합리적/비도덕적 사고를 가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군중 속의 개인은 '익명성'을 지니기에 자제력을 잃고 무책임하게 행동하기 쉽고, 비판 의식을 약화하기에 맹신하게 만들기도 쉬우며, 사람들은 점차 흑백 논리적 태도를 취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책의 끝에 르봉은, 앞으로는 '군중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말하며, 새로이 등장한 군중 세력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 고민하는 것이 사회의 숙제라고 마무리합니다.



결국 군중 심리는 인간이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하는 데에 있어서, 집단에 동조하고 협력해 문명을 발전시키고, 효율적인 의사 결정에 이용하는 등의 이점을 가져다주기도 했지만, 인종차별, 여론 몰이, 마녀사냥 등 인간 삶 속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일상에서 무의식적으로 타인의 의견에 동조할 때, 그 순간을 경계하고 내 생각이 오로지 나의 개인적인 사고 끝에 도출된 것이 맞는지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참고문헌>

Youtube, "당신이 군중심리에 빠지는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65MQwDC_lqo

Youtube, "군중은 왜 비이성적일까?"에 대한 흥미로운 사회심리학적 분석,《군중심리》, https://www.youtube.com/watch?v=Tbcxb1mSxxg






기사 다시보기 

숏폼 동영상'과 '도파민 중독'간 상관관계

금사빠의 심리는 무엇일까?

바람피는 사람의 심리는 무엇일까?

'히틀러'가 독재자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

TCI 검사에 대해 알고있나요?

<'유미'는 결국 '안나'가 될 수 없었다. 드라마 '안나'와 리플리 증후군>

자아 노출의 여러가지 방법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심리학

갑자기 내 몸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져!

우리가 몰랐던 성격 장애의 유형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859
  • 기사등록 2024-07-09 23:05:5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