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나경
[한국심리학신문=이나경 ]
출처 : Freepik / 작가 : pch.vector
대학생 A씨는 스스로가 자존감이 높다고 생각한다. 작은 실수도 용납하지 못하는 꼼꼼함과 적극적인 태도로 늘 우수한 성적을 받았고, 밝고 긍정적인 성격 덕분에 주변에 친구들도 많다. 남들과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차곡차곡 스펙도 쌓아왔다. 주변 친구들이 A씨를 향해 갓생을 산다며 대단하다고 칭찬할 때마다 기분이 좋고 자신감도 높아지는 느낌이 든다. 그런데 A씨의 자존감은 진짜 자존감일까?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어떤 이미지인가? 필자는 자신에 대해서 잘 알고 있으며, 잘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자존감이란 '자기 자신을 소중히 대하며 품위를 지키려는 감정'을 말한다. 이처럼 자신을 가치 있다고 여김과 동시에 자신을 당당하게 표현하는 모습에서 자존감을 찾아볼 수 있다.
미국의 심리학자 너새니얼 브랜든은 자존감과 밀접한 두 요소로 '자기효능감'과 '자기 존중'을 꼽았다. 먼저, 자기효능감은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자신이 살아가면서 부딪히는 기본적인 도전들에 대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기 존중은 자신의 가치에 대한 확신으로, 자신에게 행복해질 권리가 있다고 믿는 것이다. 이처럼 개인이 살아가면서 마주할 수 있는 여러 도전을 잘 헤쳐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함과 동시에 스스로가 행복할 권리가 있다고 여기는 것이 자존감의 실체라고 볼 수 있다.
가짜 자존감과 진짜 자존감
자신의 자존감 수준을 생각해 보는 것과 함께 자신의 자존감이 진짜인지 혹은 가짜인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만약, 자신의 높은 자존감의 밑바탕에 '타인보다 내가 가진 것이 더 많아 보여서', '주변 사람들이 인정해 주니까'하는 등의 이유가 깔려있다면 이는 '가짜 자존감'일 가능성이 높다. 가짜 자존감은 실제로 자신의 사회적 가치가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높게 평가하는 데서 비롯되는 일시적이고 불안정한 쾌감을 말한다. 예를 들어, 남들이 부러워할 만한 직업을 갖는 것, 고급 차를 타고 명품 옷을 입는 것처럼 타인과의 비교 속에서 자신의 가치를 찾아 자존감을 형성하는 것은 가짜 자존감이다.
전미경 정신과의사는 자존감의 기준이 '타인', '환경', '과거'에 있다면 가짜 자존감이라고 말했다. 잘난 사람과 끊임없이 비교하고 과거에서 사는 것은 가짜 자존감의 세상에서 사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실에서 자존감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으로 '바꿀 수 없는 과거와 타인에게 집착하지 말고, 현재의 상태에서 스스로가 할 수 있는 것을 찾는 것'을 조언하였다.
자존감이 높으면 친구 사귀기가 쉽다?
브랜든 박사에 따르면 자존감이 높으면 부정적 감정에 겁을 먹거나 압도당할 가능성이 작다. 또한 자기 능력을 현실적으로 평가하며, 타인에게 공정하게 대하는 모습을 보인다. 타인이 내가 이겨야 하는 경쟁 상대처럼 위협적인 존재가 아닌 협력자로 보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며, 삶에 대해 진취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처럼 자존감은 개인의 행복감뿐만 아니라 삶을 대하는 태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자존감은 대인관계 형성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미(2018, 재인용)의 연구에 따르면, 자존감은 자신을 가치 있게 생각하는 것을 넘어서 타인을 배려하고 친밀감을 형성하기 때문에 원만한 대인관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높은 자존감이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드러난다. 김남영(2018)의 연구에 따르면, 높은 자존감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타인에게 표현하는 데 도움을 주고, 호감이 있는 사람에게 다가가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높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는 것이 타인에게 자신을 표현하고 다가가게 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원만한 대인관계로 이어질 수 있다.
낮은 자존감은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
높은 자존감은 개인이 건강하게 살아가며,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 그렇다면 자존감은 의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까? 만약 자존감이 낮다면 어떤 방법을 통해 자존감을 높일 수 있을까?
윤홍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낮아진 자존감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4가지의 방법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내 마음과 내 뇌가 듣고 싶은 이야기를 스스로 해주는 것이다. 두 번째는 스스로에게 질문하지 말고, 미래형 후회를 하는 것이다. 면접에서 탈락한 이후에, "내가 왜 그때 그런 말을 했을까"라고 말하며 자신을 비난하는 것으로 이어지지 말고, "다음에는 이 말을 하지 말아야겠다"고 미래형 후회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세 번째는 하루에 온전히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마지막은 자신이 과거의 일로 인해 괴로워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스스로를 이해하는 것이다. 주변인들의 비난으로 자존감이 낮아진 상황이라면, 내가 그 말 때문에 아직 힘들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들여다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존감 훈련을 꾸준히 실행하는 것이 자존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하였다.
자신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과도 잘 지내기 위해서 높은 자존감을 가지는 것은 필수인 듯하다. 높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현재의 삶에서 행복을 느끼며 보다 긍정적인 태도로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약 지금 당신이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다면,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 현재의 자신에게 더욱 집중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그 과정에서 타인보다 나아지겠다는 가짜 자존감을 형성하는 것과 자존감의 수준이 지나치게 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나의 '진짜 자존감'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반복한다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행복으로 나아가고 있을 것이다.
[출처]
김남영.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대전
문희진. "우울증 환자의 자존감, 스트레스, 가족지지, 회복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서울
사피엔스 스튜디오, "윤홍균 작가 #10 | 아무도 나에게 괜찮다고 말해주지 않을 때. 자존감을 높이는 4가지 방법 | #어쩌다어른 #사피엔스" (2021)
https://www.youtube.com/watch?v=DFqMHcmo8m4
조선비즈, "칭찬? 인정? 정신 차리고 가짜 자존감에서 벗어나라". 김지수. (2020)
https://economy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09/2020030900028.html
경기신문, "현대인 방어도구 '자존감' 들여다보다". 민경화. (2017)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502111
연합뉴스, "너새니얼 브랜든 '자존감의 여섯 기둥' 출간". (2015)
https://www.yna.co.kr/view/AKR2015062413920000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자존감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자아존중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08343&cid=40942&categoryId=31531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nakyunglee3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