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조수빈A]


사진 출처: Pixabay 더 나은 삶을 위해 맹목적으로, 필사적으로 행복을 추구하지만, 행복과 점점 더 멀어져만 가는 기분을 느껴본 적 있는가? 행복에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이렇게 많은 불행을 겪어야 하나 싶기도 하고, 행복으로 가득한 삶이 과연 좋은 삶인가, 하는 근본적인 의문이 들기도 한다. 이렇듯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누구나 고민되기 마련인데, 그런 사람들을 위해 보다 논리적인 근거를 들어 답을 주려는 사람이 바로 심리학자이다. 인생의 실마리를 얻고자 행복과 의미를 거론했던 이분법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그들의 고군분투를 살짝 엿보고자 한다.



심리적 풍요란 무엇인가


최근 미국 버지니아대 오이시 시게히로 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행복한 삶과 의미 있는 삶을 넘어 심리적으로 풍요로운 삶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Oishi, Choi, Koo et al., 2020). 심리적으로 풍요로운 삶이란, 복잡하고 다양한 경험이 가득한 삶으로, 흥미, 다양성, 새로움과 관련이 높은 삶이다. 여기서 경험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상관없이 자신의 기존 관점을 변화시킬 만한 것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가령 이직은 괴로운 경험일 수도 있지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세계를 확장하고,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므로 가치 있는 경험 중 하나라고 보는 것이다.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심리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사는 사람들은 성격의 5요인 중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관련이 크며 호기심이 많고, 더 총체적으로 생각하며 정치적으로 자유로워지는 경향이 있다.



외로움을 이겨내는 힘


그렇다면 심리적 풍요로움이 우리의 삶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까? 박은정, 염혜은, 신지은(2024)은 심리적 풍요로움이 이사로 인한 외로움을 완화하는 요인이라 가정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들은 유·청소년기 이사 경험과 외로움의 관계를 살펴보고, 심리적 풍요로움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 검토했다. 또한 반복 검증을 위해 25세 이상 실험 참가자의 성인 초기 이사 경험을 가지고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심리적 풍요로움이 높은 경우, 이사 경험은 외로움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낯선 곳에 가더라도 적응하는 과정에서 다채로운 경험을 많이 쌓을수록 이사가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새로운 환경에서 너무 겁먹지 말고, 일단 작은 일이라도 용기 내어 도전해 보는 것은 어떨까. 그러다 보면 낯설고 무서웠던 곳이 어느새 익숙해져 있을 것이다.



어마어마한 재난과도 맞서 싸울 수 있는 무기


심리적 풍요는 몇 년 전까지 전 세계 사람들을 괴롭혔던 코로나를 극복하는 데도 도움을 주었다. Dahlen과 Thorbjørnsen(2022)는 심리적 풍요가 코로나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총 97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실시했다. 그 결과, 코로나에 걸렸다가 회복된 사람들이 코로나에 걸리지 않은 사람들보다 심리적 풍요가 더 높았으며, 그들은 팬데믹 기간을 삶에서 제외하려는 경향이 적고, 사망 불안 수준이 더 낮다고 보고했다. 새로운 경험과 성찰을 통해 반복성과 지루함에 대응함으로써 심리적 풍요가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도 대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는 경험이 가장 제한되는 시기에 무엇이라도 해보려는 시도가 마냥 무용지물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하는 게 아닐까.



심리적 풍요를 위한 용기 한 스푼


우리는 삶 속에 도사리고 있는 고난과 역경을 마주하고, 극복하며 성장한다. 그래서 필자는 꽃길만 걸으라는 말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평탄한 삶을 기원하는 것이 그저 안주하는 삶을 살길 바라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좋은 삶에는 분명 행복이 있겠지만, 그것만으로 가득하진 않을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심리학자는 심리적으로 풍요로운 삶, 즉 경험이 풍부한 삶을 좋은 삶이라고 했다. 독자 여러분도 동의하는가? 확실히 어떤 것이든 경험하면 할수록 자신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고, 자신이 원하는 좋은 삶을 찾아갈 수 있는 것 같다. 그러니 한 번 용기 내어 도전해 보자. 작은 것부터 하나씩 쌓아가다 보면 어느새 풍부한 경험이 나를 좋은 삶으로 이끌고 있을 것이다.




출처

곽노필. (2024). "행복과 의미도 좋지만…제3의 ‘좋은 삶’, ‘심리적 풍요’서 온다". 한겨레

URL: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010892.html?utm_source=copy&utm_medium=copy&utm_campaign=btn_share&utm_content=20240705

Oishi, S., Choi, H., Koo, M., Galinha, I., Ishii, K., Komiya, A., ... & Besser, L. L. (2020). Happiness, meaning, and psychological richness. Affective Science, 1, 107-115.

Oishi, S., & Westgate, E. C. (2022). A psychologically rich life: Beyond happiness and meaning. Psychological Review, 129(4), 790.

박은정, 염혜은, & 신지은. (2024). Do frequent residential moves relate to increased loneliness? Exploring the buffering role of psychological richnes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8(1), 1–17. https://doi.org/10.21193/KJSPP.2024.38.1.001

Dahlen, M., & Thorbjørnsen, H. (2022). An Infectious Silver Lining: Is Ther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covering From a COVID Infection and Psychological Richness of Life?. Frontiers in Psychology, 13, 785224.






기사 다시보기 

가끔은 고독한 시간도 필요해

자기계발서의 함정

PTSD 아니고 PDSD! 스크린 밖 배우들의 고충

인간은 어디까지 변할 수 있는가?

게슈탈트 붕괴는 심리학 용어가 아니다!

자기중심성의 역발상

나도 모르게 하는 표절, 바로 이것 때문?!

“심리학이 생각했던 것과 많이 달라요.”···대체 심리학이 뭐길래?

공감이란 무엇인가

상담자도 처음이라 좌절이 찾아옵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879
  • 기사등록 2024-07-17 22:46:5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