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지아]



행복이란



최근 영화 <탈주>를 보았다. 주인공 '규남'은 스스로 미래를 정할 수 없는 북한을 벗어나 철책 너머로 탈주를 준비한다.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하길 꿈꾼다. 그러나 탈주병 조사를 위해 부대로 온 보위부 소좌 '현상'을 마주한다. 현상은 탈주를 시도하는 규남에게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일 것을 말한다.


규남은 한국으로 오면 자신의 모든 것에 희망과 자유가 주어질 것이라는 행복을 꿈꿨다. 규남을 잡으려던 현상에게도 아마 스스로가 생각하는 행복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둘의 지향점은 달랐고, 그것이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이렇게 누군가에게 탈북은 인생 최종의 행복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한국에 살고 있는 우리는 이것을 행복이라 생각하지 못할 것이다. 아마, 필요 자체가 없을 것이다. 각자 살아가는 환경, 가치관 등이 다르므로 지향하는 점 또한 다양하다. 이에 따라 행복의 기준도 모두에게 다르다. 그렇다면 과연 당신의 행복은 무엇인가?




내가 행복할 때는 언제인가



누군가 우리에게 "언제 가장 행복하다고 느끼세요?"라고 묻는다면 뭐라고 대답할 것인가? 나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여행이라고 답할 것이다. 일상의 지루함을 벗어나 새로운 공간에서의 짜릿한 느낌, 그것을 내 사람과 즐긴다는 것이 나의 행복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여행은 힘든 스케줄 중 하나일 수 있다. 또 연인보다 가족, 가족보다 친구와의 여행을 더 행복하게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행복은 사전에서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함. 또는 그러한 상태'라고 말한다. 행복에 있어 '주관적 안녕감'은 중요한 요소이다. 안녕()은 평안하다는 의미로, 특별한 사건 없이 편안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인 삶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하게 작동한다. 인생이 슬프고 괴롭다면 당연히 만족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행복을 위해서 즐거움, 기쁨과 같은 긍정의 감정이 필수적이다.


사람마다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때가 다르므로 행복의 기준 또한 달라진다. 한 실험에서 미국과 일본 대학생들에게 작은 휴대용 컴퓨터를 나누어 주고, 신호가 울릴 때마다 자신의 감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고하도록 했다. 그 결과 일본 학생들은 친구들과 함께 있을 때 행복을 느꼈고, 미국 학생들은 선물을 받거나 과제를 끝냈을 때 더 많은 행복을 경험했다고 한다. 이렇게 행복은 주관적 만족감이므로 문화에 따라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행복에 기준이 있을까?



미국에서 1950~60년대 자조문학과 행복 코치가 등장하고 문화적으로 계속 성장하고 있다. 미국 외부에서 행복에 대한 집착을 과학적으로 포장하는 '긍정심리학'이 2000년대 이후 확산하기도 했다. 현재 우리가 말하는 행복에서 가장 큰 오류가 있다. 바로 행복이라는 약속에 집착하거나 중독된다는 것이다. 더 행복하고, 더 나은 삶이라는 약속은 전문가와 자기계발서 등이 생산한 것이기 때문이다.


행복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고, 그 기준을 찾아야 함을 강조할수록 고통과 슬픔의 두려움을 알게 된다. 그래서 아직도 행복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지 아무도 모른다. 만약 행복 자체가 전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달려있다면, 행복 전문가들은 그 기준을 정확히 알 수 없다.  


'우리는 언제 행복해질까'의 답은 누구나 다 다르며, 누구도 알지 못한다. 반대로 '이미 행복하니 뭔가 더 하지 않아도 된다'라는 말을 하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우리가 찾는 행복은 행복 전문가들이 말해주지 않는다. 행복의 역설을 확인하는 연구들에 따르면 행복을 위해 노력할수록 되려 방해를 받는다고 한다. 따라서 그 행복의 기준이란 없다.




행복의 위대한 옹호자 존 스튜어트 밀은 생의 마지막 행복을 인생의 주요 목표로 삼을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이 말에서 우리는 행복에 대한 집착을 멈춰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행은 자연재해처럼 내가 막을 수 없으며, 행복은 노력으로 성취할 수 없다. 타인을 과하게 신경 쓰는 문화가 때로 행복을 방해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행복의 기준을 찾기보다 오늘 하루를 스스로 만족했는가에 더 초점을 맞춘다면 행복은 저절로 따라오게 될 것이다.




출처


1) [네이버 지식백과] 행복 - 행복이란 원하는 것 중 내가 가진 것 (인간의 모든 감정, 2011. 4. 10., 최현석)

2) 마가리타 로드리게즈, '혹시 나도 행복 염려증? 행복해야 한다는 강박을 멈춰야 하는 잉', 2022.01.16, BBC NEWS 코리아, https://www.bbc.com/korean/features-60013028

3) 박진영 심리학 칼럼니스트,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을 자랑하지 않아야 행복하다', 2023.01.14, 동아사이언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8018






기사 다시보기 

이게 날 생각해서 한 행동이라고?

유행을 따라가지 않는 것이 유행인 세상

당신의 눈에 뭐가 보이든, 당신의 눈동자의 건배

불안함이 편안함이 되어버린 나에게

리액션이 그렇게 중요해?

나를 제일 괴롭히는 건 나야

이기심이 결코 나쁜 것만은 아니야

말의 힘과 무게

비가 오면 기분이 안 좋아

환경이 심리랑 관련이 있어?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892
  • 기사등록 2024-07-17 23:03:2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