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연우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사람이라면 한 번쯤 길을 지나가다 “어?” 하고 뒤를 돌아볼 때가 있다. 수많은 사람을 만나고 마주치지만 뒤를 돌아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러한 순간들은 종종 우리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특정 화학적 신호로 인해 뒤돌아보았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우리 현대 생활의 분주함 속에 인간관계에 조용히 영향을 미치는 힘, 페로몬이다.
숨겨진 과학과 진실
페로몬 (Pheromone)은 동물과 인간이 똑같이 방출하는 생화학 물질로, 같은 종의 다른 사람들로부터 반응을 이끌어낸다. 인간의 경우, 이 화합물들은 종종 사회적 행동과 성적 행동과 연결되어 우리의 유전 정보와 감정 상태를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조용한 전달자 역할을 하기도 한다. 페로몬은 향수나 코롱과 달리 우리의 의식 아래에서 작동하여 미묘하지만 중요한 방식으로 대인 관계 역학에 영향을 미친다.
인간 페로몬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심리학, 화학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이 미묘한 화학적 신호가 인간의 행동과 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방법을 밝히고자 한다. 한 주목할 만한 연구는 남성의 땀에서 주로 발견되는 페로몬과 로스타디엔온과 여성의 기분과 각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이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대학교의 클레어 와이어트 박사와 동료들이 실시한 이중맹검 실험에서 안드로스타디에논에 노출된 여성 참가자들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 수치가 증가했으며 대조 물질에 노출된 여성에 비해 생리적 각성이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이 연구는 안드로스타디에논이 여성의 감정 및 생리적 상태를 미묘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인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페로몬의 미묘한 영향을 강조했다.
게다가 페로몬에 대한 반응은 유전적 적합성과 개인적인 경험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매우 개별화된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한 사람에게 끌림이나 각성을 유발하는 것이 다른 사람에게 동일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단순한 생화학적 신호를 넘어 인간의 끌림의 복잡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발견은 과학자들이 사회적 역학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페로몬의 역할을 계속해서 밝히고 있기 때문에 페로몬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를 촉진시키기도 한다.
페로몬의 대중화
최근 몇 년 동안 페로몬의 매력은 단순한 과학적 호기심을 넘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실용화에 대한 관심의 물결을 불러일으켰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탐험 분야는 향수 분야에 있는데, 여기서 합성 페로몬은 개인적인 매력과 매력을 향상하기 위해 판매되는 향료에 통합되고 있다. 이 향수들은 자연적인 페로몬 신호를 증폭시켜 착용자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페로몬은 미용적인 매력 외에도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신감을 향상하는 데 잠재력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와 치료사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페로몬의 치료적 적용은 사회적 불안을 가진 개인을 돕는 것부터 전문적인 환경에서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주장을 입증하기 위한 엄격한 과학적 검증이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예비 연구에서는 특정 페로몬 제형이 사회적 상황에서 스트레스와 불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을 둘러싼 흥분 속에서 윤리적 고려 사항이 크게 보인다. 페로몬의 상업화는 정보에 입각한 동의와 후각 신호를 통해 인간의 행동을 조작하는 윤리적 의미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데, 비평가들은 페로몬이 대인 관계를 강화할 수 있지만 페로몬의 사용은 강력한 윤리적 기준과 효과에 대한 투명성에 의해 안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게다가, 과학계는 페로몬 기반 제품의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엄격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소비자들이 입증되지 않은 주장이나 잠재적인 부작용에 현혹되지 않도록 보장하면서, 통제된 연구는 그것들의 사용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확립하기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산업계가 페로몬의 가능성을 계속 탐구하는 가운데, 과학적 엄격함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은 여전히 중요하다. 우리는 이러한 보이지 않는 화학적 메신저의 흥미로운 힘을 양심적 연구와 윤리적 실천을 통해 완전히 이해하고 책임감 있게 인간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 현주. “사랑은 향기에서 시작된다?” 헬스조선, 3 February 2010,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0020200870.
Sheikh, Zilpah, et al. “How Pheromones Impact Sexual Attraction and Menstrual Cycles.” WebMD, 2 November 2023, https://www.webmd.com/sex-relationships/sex-life-pheromones.
Wyart, C., Webster, W. W., Chen, J. H., Wilson, S. R., McClary, A., Khan, R. M., & Sobel, N. (2007). Smelling a single component of male sweat alters levels of cortisol in women.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7(6), 1261-1265.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amyshin0705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