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윤채이 ]



지난 시간에 이어서,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8화부터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정신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경계성 인격 장애 '한재희']


8화에서는 경계성 인격 장애를 가진 환자 ‘한재희’가 등장한다.

경계성 인격 장애란 타인과의 관계, 감정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충동적인 특성을 갖는 성격장애이다.

본인이나 타인에 대한 평가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가 잦다. 환자의 감정이 평온에서부터 우울, 분노 등을 빈번하게 오가며 충동적이기 때문에 자해·자살행위도 빈번하다.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인 경험이 상호작용한다. 먼저, 유전적 요인으로는 분노 등과 같은 정서 조절 능력과 관련된 것이며, 후천적인 경험으로는 버림받거나 신체·정서적 학대를 받았다는 결과 등이 있다. 


과거에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발병 빈도가 높다는 전례가 있다. 

본 드라마에서는 간호사 다은은 재희에게 사소한 칭찬을 하였는데, 이에 대해 재희는 자신을 예뻐해 주는 상대를 절대적으로 이상화하며, 과하게 행동하다가 다은이 다시 제지하자, 다은을 극도로 평가 절하하기도 하는 모습을 보인다.


즉, 경계성 인격 장애를 가진 이들은 자아가 약하기 때문에 충동을 조절하지 못하여 자신에게 다가오는 좌절을 참아내지 못한다. 또한 이들은 안정적인 자신만의 정체성이 없기에 타인의 반응으로 자신을 정의하려 하는 시도를 한다.



[우울증 & 해리성 기억상실증 '정다은']


9화에서는 우울증 및 해리성 기억상실증을 가진 간호사 ‘정다은’이 등장한다.

본 드라마에서 간호사 ‘정다은’은 지난 시간과 이번 시간에서 다루는 본 드라마에 등장하는 환자들의 간호사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특이점이 있고, 환자만이 환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간호사도 환자로 전환되기도 함을 시사한다는 것이, 드라마의 시사점이자 메시지이다.


우울증이란 사고의 내용 및 과정, 계기, 하고자 하는 마음, 관심, 행동, 수면, 물리적 활동 등 전반적인 기능이 계속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의미한다. 

원인으로는 다른 정신 질환과 마찬가지로 생화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있다. 


생화학적 요인으로는 뇌의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 등의 변화와 관련된 것이고, 유전적 요인으로 보는 이유는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한 명이 주요 우울증을 앓고 있다면 다른 한 명도 우울증이 걸릴 확률이 50% 정도 된다고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울증이라 함은, 일시적인 우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기에 우울 증상이 2주 이상 오래가며 장기화된다면 치료가 필요해진다. 이에 더해서 식욕과 수면 문제가 심각하며 사회생활 수행에 있어서 심각한 지장이 있다. 



해리성 기억상실증은 PTSD인, 외상 후 스트레스로 인해 일시적인 기억 상실 증상으로 나타난다. 

본 드라마에서 간호사 정다은은 자신의 환자 중 한 명(김서완)이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는 사실을 알고 매우 심한 트라우마를 느꼈기에 본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해리성 기억상실증은 개인이 기억의 공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에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드라마에서도 간호사 정다은은 자신의 환자 중 한 명이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을 잊은 모습이 보였다. 

따라서 해리성 기억상실증 치료는 일반적으로 심리치료, 특히 외상에 초점을 맞춘 치료가 포함된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를 통해 기억의 공백에 접근하기 위함이다.

이때, 기억의 공백 부분에 대해 압박을 가하는 등의 행동은 당사자에게 더 많은 고통과 불안감, 심리적인 공포를 유발하면서 해리성 방어기제가 더 강화될 수 있기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라는 드라마를 통해 여러 가지 정신질환에 대해 소개해 보았다. 본 드라마는 너무 무겁지만은 않게, 그리고 환자의 시각으로 질병이 어떤 것인지 풀어나가며, 위에서 언급했듯이 간호사에서의 환자로의 전환이 인상적이기에 추천한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013 AP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기사 다시보기 

음악으로 몸과 마음을 치료하다

방어기제 사용설명서

비와 당신

4500원의 시작과 끝

‘나’는 없어지고, ‘너’만 남는 “가스라이팅”

‘나’는 없어지고, ‘너’만 남는 “가스라이팅”-자가진단 및 대처법

꾀병 아니에요

꾀병 아니에요-치료편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는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성공한 사이코패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등장인물들을 통해 본 다양한 정신질환 #1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917
  • 기사등록 2024-07-25 23:08:2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