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김진현 ]



우리 삶의 의미는 무엇일까? 유한한 존재로서 우리가 지닌 의미는 무엇이며, 그 유한함에서 비롯되는 불안감은 어떻게 해소될까? 나는 누구인가?


이 질문들이야말로 우리를 끝없이 괴롭히는 의문들이며 불안함의 근원이다. 실제로 이는 정신질환과도 연관이 있다. 전북대 심리학과 최명심 교수에 따르면 개인의 삶의 의미를 찾은 수준은 정신건강, 그리고 자존감과 의미있는 연관이 있다. 또한, 실존주의 심리학의 대표주자인 어빈 얄롬은 삶의 의미를 체감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심각한 정신병리를 겪을 확률이 높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다양한 연구에서 물질남용과 삶의 의미 부족 간의 의미있는 연관성을 찾기도 했다. 이렇듯 삶의 의미란 개인의 근본적 내면 세계를 구성하고 있다.




실존주의 상담이란




이런 근본적 내면 세계를 탐구하여 개인이 지닌 두려움과 불안을 해소시킴으로써 개인의 성장을 촉발하고자 하는 치료 방식이 있다. 바로 실존주의 상담이다. 실존주의 상담은 사실 정신의학과는 결을 달리한다. 정신의학은 개인의 증상과 그 치료를 목적에 둔다. 그러나 실존주의 상담은 그 질병의 근본적 원인은 개인이 자신의 삶 속 의미나 가치를 찾지 못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 여긴다.


이를 치유하기 위해 실존주의 상담자는 내담자를 하나의 개인 그 전체로 본다. 그들의 과거를 보고 치료하는 대부분의 상담 과정과는 달리, 실존주의 상담은 현재에 집중하며 앞으로 나아가면서 개인이 책임감있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



삶의 의미, 그 배경


실존주의 상담은 크게 여섯 가지의 명제를 기본 가정으로 삼는다.


1. 모든 개인은 스스로를 자각하는 능력이 있다.

  1. 2. 모든 개인은 자유로운 존재로서 그 자유에 따른 책임을 지닌다.

3. 모든 개인은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알 수 있는 각자의 자아를 지닌다.

  1. 4. 삶의 의미는 가변적이기에 개인은 끊임없이 스스로를 재창조해야 한다.

  2. 5. 불안은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조건이다. 

  3. 6. 죽음은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기본적 인간의 조건이다.



어빈 얄롬에 의하면 이 명제들을 바탕으로 실존주의 상담은 개인이 존재함으로써 생기는 구체적 실존적 조건들과 근심을 없애주거나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존적 조건들에는 죽음, 자유, 고독, 그리고 공허감이 있는데, 실존주의적 상담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개인이 이들을 회피하지 않고 용기있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런 실존적 조건들은 한 개인으로서 불가피하지만, 이를 직면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런 조건 하에 우리는 우리가 지닌 자유를 바탕으로 책임있는 선택을 내리고, 이 선택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다면, 비로소 우리는 우리가 선택한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하나의 개인은 실존주의 상담을 통해 삶의 의미와 가치를 스스로 일궈낼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불안하고 두렵기에 삶은 의미있고, 삶은 의미있기에 불안하고 두렵다.



실존주의적 상담에서 각각의 실존적 조건을 다루는 방식은 불안 속 희망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죽음이라는 실존적 조건 앞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불안을 느낀다. 삶은 유한하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순간, 공허감과 무의미에 무너질 수 있다. 그러나 실존주의적 상담에서는 이를 두려움 없이 바라볼 수 있도록 하고, 그런 과정을 통해 죽음은 삶을 더 소중한 것으로 만든다는 인식을 남겨준다. 


자유는 언급했다시피 책임과 언제나 함께한다. 양날의 검 같은 존재로, 이로부터 성인의 불안이 대부분 찾아온다. 자유는 불확실성을 의미하고, 그 불확실성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사실은 왠지 두렵다. 그러나 우리 선택은 언제나 우리의 것이다. 그 결과와는 무관하게 선택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정할 수 있는 것이다.


고독이라는 실존적 조건에 이르러서는 우리는 또다시 혼자라는 두려움을 경험한다. 아무리 친해져도 각 개인 간에는 간극이 존재하고,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이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이 고독은 또다른 의미로 나 자신만이 내 미래를 결정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공허감은 이 모든 것을 아우른다. 우리가 선택한다 해도 그 모든 결과와 과정은 소멸하는 것이다. 허무하기까지 하다. 실제로 삶에는 의미가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존주의 상담에서 삶의 의미는 좇거나 발견하는 것이 아니다. 생겨나는 것이다. 끊임없이 변화하고 최선을 다해 살아가다 보면, 언젠가 그것의 부산물로 삶의 의미가 생겨난다.




실존주의 상담의 원리


그렇다면 실존주의 상담은 어떻게 이 변화를 이끌어낼까? 이에도 몇 가지의 기본 원리가 있다.


  1. 1. 비도구성의 원리: 실존주의 상담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상담을 치료의 도구로 보지 않는다. 유연한 상담을 통해 개인마다의 차이를 인정하되 그들의 공통된 불안을 책임있는 선택으로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2. 2. 자아중심성의 원리: 상담을 진행하며 하나의 매뉴얼을 바탕으로 개인의 증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닌, 개인의 자아를 중심으로 바라봐야 한다.


  3. 3. 만남의 원리: 이는 두가지 차원에서의 만남을 의미한다. 첫번째 만남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진정한 만남이다. 라포르를 쌓으며 현재의 만남에 집중하는 것이다. 두번째 만남은 내담자가 인간관계를 통해 발견하는 자아를 새롭게 만나게 되는 것이다.


  4. 4. 치료할 수 없는 위기의 원리: 실존주의 상담의 목표는 치료나 위기극복이 아니다. 그저 한 개체로서 순전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들을 바탕으로 상담을 하는 과정에서 내담자는 이론적으로 삶의 의미를 자각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력을 지닐 수 있게 된다. 




실존주의 상담에 대한 비판



그러나 분명 실존주의 상담에 대한 비판도 있다. 우선 자유도가 높고 유연해야하는 만큼 체계가 명확하지 않기도 하다. 이는 실존주의 상담의 추상적인 면에서 비롯되기도 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극심한 정신질환을 겪는 사람들에게는 적용되기 힘들다. 증상에 집중하기보단 증상이 발현되는 배경에 집중하는 데에서 오는 문제점이다. 


또한 기본적으로 철학에서 비롯된 상담 기법이기 때문에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 해당 철학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이는 실존주의 상담에 대한 진입장벽을 높이며 적용 범위를 줄이기도 한다. 궁극적으로 실존주의 상담은 불편한 진실과 인간의 한계를 마주하며 받아들이는 과정이기도 하기에 그 불편함에서 비롯되는 고통도 하나의 제한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나 그만큼 개인이 근본적으로 삶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고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실존주의 상담이다. 개인을 개인 그대로 바라보며 발전하는 것이 목표인만큼 다른 치료 방식의 문제인 개인을 증상으로 바라보는 문제도 극복할 수 있는 방식이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해결방법이라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실존주의 상담은 두렵기도 하지만, 그 얼마나 희망적인가.


삶은 두렵기도 하지만, 그 얼마나 희망적인가.




참고문헌

삶의 의미 수준과 자존감,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의 관계. (2011).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2), 363–377. 

Yalom, I. D. (1980). Existential psychotherapy. New York: Basic Books

Sussex Publishers. (2022, September 2). Existential Therapy.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gytoday.com/intl/therapy-types/existential-therapy 

Brief Interventions and Brief Therapies for Substance Abuse. (199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TISTORY. (2020, December 27). [상담톡/이론] 실존주의상담_이론과 실제 (요약정리). (나:봄 상담사의) 온택트상담소. https://ontactplus.tistory.com/33 

실존주의치료 (실존주의상담 주요 개념, 성격 이론, 치료이론 및 치료기법). 네이버 블로그 | 마음여정 심리상담. (2019, May 17). https://m.blog.naver.com/mindfulpath/221534603231 

Existential therapy: What is it?. Cleveland Clinic. (2023, June 21).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treatments/25089-existential-therapy 






기사 다시보기 

전두광의 대머리가 유달리 빛나는 이유

부정행위를 응원할 수 밖에 없는 이유

메시아가 한 종족을 구원하는 방법

홈런을 치고도 1루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을 위하여

우리 삶은 반복하고, 그렇기에 운율로 충만해지는 시이다

마음 속 빈자리가 사라지지 않아도 괜찮아

저는 위험한 사람이 아닙니다

우울증과의 전쟁

행복하려면 집중!

정신질환이라는 악순환을 끊어내다

정신질환은 더해지지 않고 곱해진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8936
  • 기사등록 2024-07-30 19:25:2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