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상현
[한국심리학신문=노상현 ]
‘가슴 뛰는 삶’이 모토인 나에게 정반대의 친구가 찾아왔다. 그 이름은 바로 ‘무기력증’이다. 열정적으로 무언가를 하다가도 갑자기 힘이 쭉 빠지거나, 이게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거나, 아무것도 하기 싫고 그냥 잠만 자고 싶다거나. 이러한 무기력증에서 벗어나고 싶어, 기사를 쓰며 무기력증이 무엇인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 그에 대한 해결책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무기력증이란 사람에게 나타나는 무기력감, 회의감, 피로감, 의욕 저하 등의 일련의 증세이다. 이를 뇌과학적으로 설명한다면, 뇌의 동기부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무기력증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뇌는 주로 ‘도파민 분비 회로’가 비활성화 되어있다고 한다. 우울증, 번아웃의 전조증상 혹은 수반되는 증상인 무기력증, 이 무기력증의 원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무기력증의 원인
첫 번째로는 ‘의미 상실을 경험할 때’이다. 처음에는 의욕 있게 시작했지만, 꿈과 현실의 차이를 느끼며 모든 게 의미 없다고 느낄 때, 현재 의미 없는 상황이 스스로의 노력으로 바뀔 가능성이 보이지 않고 계속해서 똑같은 상황이 반복될 때, 이럴 때 우린 무력감을 느끼게 된다.
두 번째로는 ‘나 자신의 존재 가치를 부정당할 때’이다. 실연의 아픔 혹은 배신의 아픔과 같이, 인간관계에서 받은 상처로 자존감이 낮아지며 스스로의 삶이 의미 없게 느껴질 때를 말한다. 우리의 뇌는 자존감을 형성하는 데에 주변 사람들의 영향이 굉장히 중요한데. 주변 사람들로부터 부정적인 영향 혹은 피드백을 받을 때 나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는 결국 무력감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세 번째로는 ‘뇌에 염증 물질이 쌓였을 때’이다. 무기력증이 마음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이처럼 신체적인 문제인 경우도 있다. 이는 결국 졸음증(심한 졸음이 있는 상태로 방치하면 계속 자게 되는 질환)과 만성피로증후군(6개월 이상 지속되는 심각한 피로감이 주된 증상인 복합적인 질환)과 같은 질병으로 발전하여 무기력이 또 무기력을 낳는 악순환을 만들게 된다.
무기력증의 해결 방법
첫 번째로는 ‘자기 관찰’이다.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그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 것처럼 무기력증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지금 왜 무기력한 건지, 신체적 혹은 정신적 문제인지, 인간관계에서의 상처 때문인지, 먼저 스스로를 관찰하며 정확한 이유를 찾는 게 가장 중요하다.
두 번째로는 ‘삶의 통제권 되찾기‘이다. 무기력한 상황의 대부분은 주로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하였을 때 발생하는데, 이럴 때 작은 부분이라도 삶의 통제권을 가져오는 게 중요하다. ’누가 뭐래도 이것만은 내가 선택할 거야‘ 하는 나의 영역을 만들어놓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뜻이다. 스스로 작더라도 의미 있는 행위를 하나 정도 만들어 실천해 보자. 스스로 선택한 일이 삶의 의미를 찾고 활력을 되찾는 데 굉장한 도움이 되며, 의미 있는 일을 찾는 시작점은 내가 선택한 작은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세 번째로는 ’불확실성을 확실성으로 바꾸기’이다. 미래가 불확실하고 내가 하고 있는 게 아무 의미가 없어 보일 때, 내가 하고 있는 일의 결과물을 시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상태와 미래 목표를 정리하여 눈에 보이는 형태로 시각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뜻으로, 일기나 기록이 이를 실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내가 현재 지금을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문제점을 무엇인지, 그리고 앞으로의 나는 무엇을 해야 할지를 일기나 기록을 통해 시각화하여 접근하다 보면, 뇌가 견디기 어려워하는 불확실성을 극복할 수 있게된다.
마지막으로는 ‘수면과 운동‘이다. 무기력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수면과 운동 부족으로, 만약 자신의 수면 시간 혹은 운동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 확인된다면 당신의 무기력증은 수면 및 운동 부족에서 왔을 확률이 정말 높다. 수면과 운동으로 신체 대사량을 높여야 뇌에 산소와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도파민이나 세로토닌과 같은 우리 몸의 신경 전달 물질 또한 문제없이 잘 분비되기 때문에, 무기력증을 해결하는 데에 있어 신체 건강도 마음 건강만큼이나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된다.
<출처>
장동선의 궁금한 뇌. (2024). 뇌과학자가 추천하는 무기력에서 벗어나는 가장 간단한 방법 | 삶의 통제권 가져오기 | 무기력과 우울증 (youtube.com)
Eternal Improvement. (2023). Endless Energy - The Science of Eliminating Tiredness - Andrew Huberman (youtube.com)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nsh283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