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정혜린 ]


Instagram / 뉴진스 공식 인스타그램 (@newjeans_official)

이번 여름 뉴진스 하니가 일본 도쿄돔에서 ‘푸른 산호초’를 부른 영상이 화제가 되었다. 귀여운 단발머리와 일본 80년대 스타일을 적절히 재현해 낸 의상, 웃으며 무대에 서는 하니의 모습은 유튜브와 인스타 등 각종 SNS에서 인기를 얻었고,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엄청난 관심을 보였다. 하니가 속한 '뉴진스(NewJeans)’는 2022년 7월에 데뷔한 ADOR 소속 5인조 여자 아이돌로, 최근 ‘Bubble Gum’과 ‘How Sweet’이라는 노래로 컴백을 하며 좋은 성적을 얻었다. 연이어 ‘Supernatural’이라는 노래로 일본 데뷔까지 성공적으로 마쳤다. 뉴진스는 데뷔부터 ‘Hype Boy’, ‘Attention’ 등의 노래로 인기를 얻어 다수의 신인상과 대상을 받으며 대세임을 증명했다. 대중들은 뉴진스의 어떤 면에 끌려 환호하는 것일까? 뉴진스의 주된 성공 요인으로는 숏 폼과 밈의 적절한 사용, 뉴진스와 접목한 토끼 캐릭터를 이용한 마케팅, 메시지를 숨겨놓는 것인 이스터 에그를 이용한 콘텐츠 간의 긴밀한 연결 등이 있다. 그중에서 뉴진스의 주된 컨셉인 ‘세련된 뉴트로’를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소로 뽑을 수 있다.



익숙한 듯 새로운 뉴트로


뉴트로는 과거의 문화를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세대가 과거를 새롭게 융합하고 재창조하여 즐기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이때 뉴트로는 주로 10~20대 사이에서 유행하며 과거를 새롭게 즐긴다는 점에서 과거를 경험하고 추억하며 이를 본뜨는 ‘레트로’와는 차이가 있다. 젊은 세대는 새로운 아날로그 감성에서 낯섦과 참신함을 느낀다. 뉴(New)와 복고(Retro)를 결합한 단어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 과거의 것을 재유행, 재구성, 융합하는 과정을 거쳐 현대적인 스타일로 재탄생한 상품을 즐긴다. 각종 정보에 쉽게 노출되어 익숙함에 익숙해진 MZ 세대는 낯섦과 새로움을 갈망하고 있다. 뉴트로의 색다름은 이들의 갈증을 해소한다. 뉴트로는 중장년층에서도 인기를 얻는데, 이들은 젊은 세대와는 다르게 익숙함에서 오는 즐거움과 행복했던 과거에 대한 향수를 겪기 때문이다.



과거에 대한 그리움


중장년층 또한 뉴트로를 주목하는 이유는 ‘예전의 것’이 갖고 있는 낡음과 흠집, 부족함으로부터 정을 느끼고 충족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노스탤지어(nostalgia)는 과거의 행복했던 기억을 떠올리고 추억하며 그때로 돌아가 불안하고 고통스러운 현재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는 심리를 의미한다.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을 겪어온 세대는 갑자기 변해버린 세상에 혼란을 겪게 된다. 그 과정에서 디지털 피로감을 느끼는데, 새로운 디지털 기술 학습이나 다양한 소셜미디어 사용에 따른 피로감을 말한다. 디지털 피로감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와 바쁘고 정신없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것에 싫증을 느끼고 지쳐버린 마음이 섞여 노스탤지어 성향이 높아지게 된다. 노스탤지어 성향이 높아진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옛것을 그리워하고, 레트로의 빛바래고 허름하지만, 어딘가 고급스러운 감성을 가진 뉴트로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사회의 노스탤지어가 높아졌기 때문에 빈틈으로부터 오는 여유는 살리되 현대적인 감각을 섞어 촌스러움을 지워낸 뉴트로 콘텐츠가 큰 인기를 얻었다.



유행 = 심리


Instagram / 진로 공식 인스타그램 (@official.jinro), 오리온 공식 인스타그램 (@orion_world)뉴트로의 적절한 사용은 뉴진스의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 뉴진스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뉴트로 컨셉을 마케팅적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1970~1980년대에 생산된 소주를 떠올릴 수 있는 디자인과 두꺼비 캐릭터를 통해 과거를 재현해 익숙함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젊은 세대에게 신선함을 주었다. 오리온은 ‘초코파이’ 50주년을 기념하여 1974년, 1989년, 2006년, 2015년의 디자인을 살린 패키지를 한정판으로 출시했다. 이 외에도 뉴트로 감성은 인테리어, 드라마, 브랜드 로고 등에 사용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뉴트로가 선풍적으로 유행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성공 요인은 현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심리 상태를 반영하고 니즈를 충족시킨 것이다. 앞으로 다가올 다음 유행은 무엇일지, 어떤 심리를 투사할 것인지가 기대된다. 






참고문헌

1)신유진. (2023). 대중음악에서 나타나는 뉴트로 전략 연구-아이돌 그룹 뉴진스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김준형, 한경훈. (2023). 걸그룹 뉴진스(NewJeans)에 나타난 뉴미디어 시대아이돌 홍보 전략 연구. 문화와 융합, 제 45권 6호, 298~304p

3)박주연, 신상윤. (2024). 노스스탤지어를 활용한 레트로 패키지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설빙’ 추억의 디저트 상품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 22권 1호, 191~192p

4)고진용, 여준상. (2022). 디지털 피로감이 레트로, 뉴트로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노스탤지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비스마케팅저널 제 15권 2호 , 19~23p

 




지난 기사보기

2024 파리 올림픽 태권도 금메달의 비결? “중요한 것은 무너지지 않는 것”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109
  • 기사등록 2024-09-12 19:40:4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