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김정민 ]



어린 아이들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다. 100명의 아이들이 있다면, 그들의 행동과 성격은 100가지로 다르다. 하지만, 모든 아이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발달 단계가 있다. 예를 들어, 대다수의 아이들은 늦어도 3세가 되면 다른 사람과 함께 주의를 기울이는 행동을 (공동주의) 할 수 있게 된다. 길을 걷다가 간판을 손으로 가리키면서 쳐다보면, 아이가 따라 그 간판을 바라보는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발달 과업을 수행하지 못한다면, 아이의 발달이 지연되고 있지는 않은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처럼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는 조기 진단이 가능한 질환으로, 초기 발달 과정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 조기 진단이 중요할까?


조기 진단은 조기 중재로 이어지기 때문에, 더 긍정적인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다.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경우,초기 발견이 가능한 특성상 조기 선별이 더욱 중요하다.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에 따르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증상은 12~24개월 사이에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12개월이전에도 발견될 수 있다. 이는 조기 진단이 신속한 개입으로 이어져, 증상 개선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조기 진단, 현장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을까?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증상을 처음 인식하는 사람들은 주로 부모님(약 66%), 교육기관 교사(약 15%), 의사(약 13%) 등이다. 따라서, 여러 분야의 관련 종사자들이 조기 발견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안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다면, 실제 현장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조기 진단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을까? 2017년에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접할 수 있는 기관들, 일차의료기관, 공공기관, 교육기관, 치료기관 등에서 일하고 있는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그리고 설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674명의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 설문에서, 공공기관이나 치료 기관에서 일하는 종사자들의 22%가 4세 미만, 34%는3세 미만을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진단 가능 연령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증상이 일반적으로 12~24개월 사이에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이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또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스펙트럼’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증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한 아이는 특정 장난감에 집착할 수 있지만, 또 다른 아이는 다양한 장난감에 흥미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같은 진단을 받더라도 각각의 아이들이 보이는 행동은 전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관련 종사자들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고, 전형적인 행동 패턴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도 진단할 수 있도록 교육받는것이 중요하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조치에 대한 교육도 이루어져야 한다. 설문조사 결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아동을 발견했을 때 큰 병원에 가보라고 하거나 소아과에 가보라고 한다는 응답이 상당수였고,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 응답도 9% 존재했다. 응답을 통해 다른 기관에 연계하는 조치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진단이 늦어지고오히려 부모들이 혼란스러워질 수 있음이 우려된다. 따라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증상을 조기 발견 시 적절한 조치에 대한 안내도 필요하다.

 



조기 진단을 위한 체계적인 대책의 필요성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 것 같다’거나 ‘아직 진단하기엔 너무이르다’는 이유로 진단을 미루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특히 요즘은 진단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 몇 년씩 진단을 기다려야 하는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조기 진단이 지연되면 조기 개입의 기회를 놓치게 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영유아 건강검진 단계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조기에 의심할 수 있는 도구의 도입과 더불어, 보다 높은 변별력을 가진 설문지가 비치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일차진료기관에서 보다 정확하게 조기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조기 진단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관련 종사자들이 충분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기사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진단할 때 사용되는 다양한 도구들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 참고문헌
  • 1) Sunwoo, H. J., Noh, D. H., Kim, K. M., Kim, J. H., & Yoo, H. J. (2017). A Study on Practitioner’s Perceptions on Early Screening of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8(2), 96–105. 
  • 2) Lee KS, Yoon HS, Chung HS, Yoo HJ. A study on early screening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Korea and its sup- port system. J Korean Assoc Pers Autism 2015;15:93-120.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115
  • 기사등록 2024-09-25 18:24: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