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수현
[한국심리학신문=김이수현 ]
To. 미래의 나에게
매주 나오는 과제와 할 일들. 끊임없이 쏟아지지만, 내일의 나에게 할 일을 맡긴다. ‘내일의 내가 해줄 거야~!’. 실제로 내일의 내가 할까? 내일의 나도 모레의 나에게 맡긴다. 속절없는 시간이 흐른 뒤 마감 5시간 전 급하게 과제를 제출한다. ‘퀄리티는 모르겠고 제출하는 것에 의의를 두자!’, ‘다음 과제는 진짜 미리 해야지!’. 하지만 다음 과제도 또 똑같은 과정이 진행된다. 우리는 왜 과제 수행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고, 기간 내에 완성하지 못하는 것일까?PIXABAY
우리가 계속 일을 미루는 이유에는 계획 오류(Planning Fallacy)의 영향이 있다. 계획 오류는 작업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과소평가하는 것이다. 이전 과제가 일반적으로 계획보다 오래 걸렸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차후의 과제를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과소평가하는 현상이다. ‘과제가 일주일이나 남았으니 내일 해도 될 거야.’, ‘마감 기한까지 이틀이니 내일 해도 되겠지?’. 실은 수행하는 데에는 3일 이상의 충분한 시간이 필요함을 스스로가 알고 있음에도 말이다.
계획 오류의 유명한 사례로는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공사를 꼽을 수 있다. 1957년에 덴마크 건축가의 설계를 바탕으로 공사를 시작할 당시에는 77억 원이 필요하다. 또한 6년 후인 1963년에 완공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비용은 15배인 1,100억 원이 들었고 시간도 총 16년이 걸려서 결국 1973년에야 공사가 끝났다. 다른 예시는, 논문을 작성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프로젝트를 완료할 시기를 예측하도록 요청했다. 그들은 실제로 더 소요되는 “worst-case scenario”보다 평균적으로 3 주안에 끝날 것이로 예측하였다.
그래서 이유가 뭐야?
계획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우리가 과제를 수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건을 사전에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과제를 기간내에 충분히 끝낼 수 있다. 다만 약속이 갑자기 생길 수도 있고, 다른 과제가 추가로 생길 수도 있다. 우리는 모두 하나의 일을 완성하는데, 예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을 경험으로서는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과거의 사례를 통해 얻은 경험이 다음번에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번에는 진짜 술 약속을 잡지 않겠어.’라고 다짐하지만, 역시는 역시 ‘오늘만 놀고 내일 열심히 해야지’라고 하며 미래의 나에게 맡긴다.
계획 오류를 극복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즉, 자기 예측성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일까? 가장 좋은 해결책은 과거에 과제를 완성하는데 얼마만큼의 시간이 소요되었는지 현실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겉으로는, 사람들은 과제를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실제 시간보다 적게 예측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긴 시간이 걸린다. 다른 좋은 방법은 과제의 각 수행 부분이(단계가) 얼마의 시간이 소요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Min & Arkes는 웨딩 플랜을 단계마다 얼마나 걸리는지 분석한 커플들이 분석하지 않은 커플들보다 더 정확하게 시간을 예상하였다.
과제 수행 완료 예측 영역에서도 계획 오류를 찾을 수 있지만 다른 부분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사람들이 낭만적인 관계의 수명을 과대 예측하는 경향(Buehler et al., 1995; MacDonald & Ross, 1999)과 관계의 강도를 과대평가하는 상황에서도 유사한 패턴과 심리적 과정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연인들이 평생을 기약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알 수 있다.
미루는건 이제 그만!
PIXABAY 삶을 살다 보면 다른 가외 변인으로 인하여 일정이 미루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런 경우까지 생각해서 살면 삶이 복잡해질 수도 있지만, 고려하지 않는다면 기간 내에 만족할 만한 과제물을 완성할 수 없을 확률이 높다. 자신의 과거를 되돌아보며 과제 수행에 얼마의 시간이 소요되었는지를 정확히 측정한다면, 추후의 과제도 시간 내에 충분히 완성할 수 있지 않을까?
참고문헌
1) David G. Myers, Jean M. Twenge. (2018). Exploring Social Psychology. Mc Graw Hill Education
2) Roger Buehler 외 2명(2010). Chapter One - The planning Fallacy: Cognitive, Motivational, and Social Origin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Pg.1-62
지난 기사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