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현
[한국심리학신문=조승현 ]
그림, 음악, 글 등 많은 예술 작품을 보면 부정적인 상황 혹은 감정 속에서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 정신질환을 앓으며 험난한 삶을 겪었던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들, 시련과 어려움을 겪었지만, 일어나겠다는 마음을 담은 가수 박효신의 노래 ‘야생화’, 일제강점기 저항 시인들의 저항시 등 쉽게 예시를 떠올릴 수 있다. 학창 시절 국어 시간에 배우는 문학 작품들만 생각해 봐도 고통과 시련 속에서 쓰인 작품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실과 고통 속에서 인간은 우울, 슬픔, 분노 등 깊은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 필자는 정서를 표현하고 극복하고자 하는(혹은 더욱 깊이 느끼기 위한) 마음에서 예술이 탄생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무언가를 창작하는 예술가들은 더 빈번하게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할까?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것이 창작에 도움이 될까?
창의성과 정신질환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진행한 연구를 살펴보자.
연구팀은 정신과 진료를 받은 적이 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친척 120만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다른 직업군에 비해 창의성이 주요한 능력으로 요구되는 직업인 예술가, 과학자 집안에서 우울증, 불안 증세, 중독, 신경성 질환 등이 특히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글을 쓰는 작가 집단에서 정신 질환자가 많았고, 일반인보다 자살 시도율이 50%나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창의적인 일을 하는 직업인이 다른 사람들보다 정신질환을 더 앓는 것인지, 아니면 정신질환으로 인해 세계를 보는 시각이 독특해지는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 정신질환과 창의적인 일의 상관관계는 분명히 있다.
고통을 겪는 과정에서 인간은 해결책과 돌파구를 찾는다. 그 과정에서 생각하고 표현하며 창작 욕구가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이 예술로서 드러난 작품을 보며 우리는 감명받고 힘을 얻는다. 이런 과정들을 생각해 봤을 때 분명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것은 창의성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창작활동에 있어 부정적인 정서만 있는 힘껏 느끼는 것이 유리할까?
꼭 그렇지만도 않다. 어떤 일을 시작하는 데 있어 새로 시작할 ‘힘’을 얻어야 하고, 꾸준히 그 작업을 이어 나가는 것에는 ‘열정’이 필요하다. 힘과 열정의 원동력이 우울과 슬픔, 고통뿐이라면 언젠가는 지치게 되어있다. 지속 가능한 창작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감정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부정적인 감정만이 아니라 긍정적이고 활기찬 기분도 창작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브레인스토밍과 같이 빠르게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은 우리에게 활력을 가져다준다. 이렇게 떠올린 아이디어는 창작의 밑바탕이 되기도 한다.
게다가 모든 작품이 고통 속에서 탄생한 것도 아니지 않은가. 아름다운 사랑을 표현하거나, 멋진 자연 풍경을 묘사하는 등 긍정적인 상황이나 감정 속에서 만들어진 그림, 노래, 글도 아주 많다.
창작에서 취할 감정의 자세
결론적으로 가장 좋은 것은 부정적 감정과 긍정적 감정, 이 둘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이다.
영화 ‘인사이드 아웃’에서 나온 것처럼, 우리 모두 오직 하나의 감정을 느낄 때보다, 여러 가지 감정을 복합적으로 느낄 때가 많다. ‘어떤 것은 좋고, 어떤 것은 나쁘다’라고 쉽게 단정 지을 수 없다. 우리 안에는 기쁨, 슬픔, 버럭, 까칠, 소심이가 있고, 모두 살아가는 데 있어 꼭 필요한 소중한 감정이다.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쉬운 과정은 아니지만, 어느 하나만 추구하는 자세는 버리도록 하자. 슬픔을 겪을 때 내가 바라보는 세상도, 기쁠 때 보는 세상도 모두 내가 느끼는 세상이다. 나의 감정을 받아들이고 그때그때 적절하게 다루고 표현하면 자연스럽게 좋은 결과물이 나오지 않을까?
*참고문헌
1) 이무현 기자, “정신질환자, 창의적인 사람 많다?”, 2012.10.18, 코메디 닷컴, https://kormedi.com/1204729/
2) Zorana Ivcevic Pringle Ph.D., Uncovering Emotions in Creativity, 2023.03.29,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creativity-the-art-and-science/202303/uncovering-emotions-in-creativity
지난 기사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wtg0121@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