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청소년과 상담자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 충전소' -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문에 노크해 봅시다!
  • 기사등록 2024-12-16 08:13:20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정연수 ]



'청소년과 전문 상담사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 충전소'




청소년기는 개인의 정체성이 형성되고 사회적 관계가 확장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청소년들은 다양한 고민과 불안을 경험하며, 이러한 감정은 매우 현실적이고 보편적입니다. 친구 관계, 학업 스트레스, 진로 선택, 가족 문제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심리적 부담을 느끼기 쉽습니다. 저 또한 청소년기를 겪어온 사람으로서 이러한 고민을 누군가에게 솔직하게 털어놓는 것은 그들에게 큰 위안이 되며, 이를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성숙해 가는 과정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 시기는 자신의 꿈을 키우면서 인생의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시기에 있는 우리의 청소년들이 학교 폭력, 가출, 자살, 학교 부적응 등의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청소년들이 더 이상 어둠 속에서 상처받지 않고 보다 활기차고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자신의 숨어있는 능력을 발견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각 방면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오늘 여러분께 소개해 드릴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복지지원법 제29조에 따라 청소년 행복과 성장을 돕는 취지로 설립되었습니다. 청소년들이 원하는 것을 진정으로 알고 청소년 옆에서 함께 하기 위해 구성원 모두는 눈을 크게 뜨고 온 마음을 기울여 청소년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청소년의 존재는 우리의 현재이고 미래입니다. 우리는 그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를 가지고 살고 있습니다. 


센터의 이용 가능 대상은 만 9세부터 24세의 청소년 및 보호자입니다. 상담 내용은 부모님와 학교에는 전달되지 않으며, 보호자 동반 역시 하지 않아도 됩니다. 혼자 고민을 끌어안고 힘들어하기보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고 더 밟은 내일을 준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때로는 여러분이 겪는 문제가 너무 크고 쉽게 해결할 수 없다고 느끼지만,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문에 노크해 봅시다!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이러한 청소년이 겪는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들의 안전하게 자신의 감정과 고민을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그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돕습니다. 전문 상담사는 청소년의 특성과 발달 단계를 이해하고, 맞춤형 상담을 통해 그들의 정서적 및 심리적 안정감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더불어 다양한 프로그램과 워크숍을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을 탐색하고 사회적 기술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래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서로의 경험을 나누는 활동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이처럼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여성가족부 공식 홈페이지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에 대한 상담 · 긴급 구조 · 자활 · 의료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및 복지 증진에 대한 기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위기 청소년에 대한 상담 및 복지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으며 전국에 240개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 설치 및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과 복지를 중요시하는 사회적 흐름에 따라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청소년들의 우울증 및 불안감 등의 문제가 부각되면서 상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센터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상황입니다.


또한 각 상담센터는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청소년이 전문적인 심리적 지원을 받고,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긍정적인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https://www.1388.go.kr/sfi/YTOSP_SC_SFI_01?untwktValue=U02 해당 링크를 클릭하시면, 여러분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전문 상담사와의 상담을 통해 여러분의 고민을 해결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여러분의 마음은 소중합니다. 




참고문헌 

1) 황순길,손재환,김다희,and 김화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중장기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대내외 환경 및 발전과제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4.1 (2016): 197-219.

2) 김신아,김형경,and 황미화. "청소년 자살생각 유형화와 관련요인 분석: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31.2 (2023): 1-24.

3) 소수연,백정원,이지은,이수림,김지훈,and 정진영. "청소년상담자의 화상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9.2 (2021): 347-366.

4) 김동일,현은정,우예영,and 박준영. "청소년 고위기 상황 및 효과적 개입에 대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위기청소년 담당자의 인식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8.2 (2020): 281-303.






지난 기사보기

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서포터즈가 뭐예요?

혹시 청소년을 유혹하는 '댈구'를 아는가?

쉼터 청소년과 함께 성장한 나의 5개월

청소년들에게 추천하는 ‘또래상담’

개인의 길을 찾는 중요한 도구인 ‘STRONG 검사’

최근 직업 선택 시 중요한 진로가치는?

청소년을 위한 디지털 성범죄 예방 교육의 중요성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285
  • 기사등록 2024-12-16 08:13:2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