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민
[한국심리학신문=김정민 ]
전 세계 인구의 다섯 명 중 한 명이 매일 읽기와 쓰기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이는 단순히 시력 문제 때문이 아닙니다. 바로 뇌가 언어를 처리하는 방식이 다른 신경학적 차이 때문입니다.
이런 모습을 우리는 난독증(dyslexia)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전 세계 수백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이 복잡한 문제로, 흔히 “글자를 거꾸로 봐서” 글을 읽지 못한다는 오해를 받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깊은 차원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학습 장애
학습 장애 중 하나, 난독증
난독증은 가장 흔하고 잘 알려진 학습 장애 중 하나로, 주로 읽기, 맞춤법, 쓰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학습 장애(Learning Disability, LD)란 특정 학업 기술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드는 신경학적 조건에서 비롯된 장애를 말합니다. 어떤 지능이나 노력의 문제가 아니라, 뇌가 언어를 처리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학습 장애의 종류 중 난독증 외에, 난산증(dyscalculia)은 수학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난필증(dygraphia)은 필기 및 소근육 운동 기술에 어려움을 줍니다.
학습 장애? 지적 장애?
학습 장애와 지적 장애는 자주 혼동되지만,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난독증과 같은 학습 장애는 특정 학업 기술, 예를 들어 읽기, 쓰기 또는 수학에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 외에 지적 능력은 평균 이상일 수 있습니다. 학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평균 이상의 지능을 가지고 있지만, 특정 학업 영역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는 것이기 때문에 맞춤형 교육 전략이 필요합니다. 반면, 지적 장애는 또래에 비해 지능과 행동의 발달이 느린 발달 장애의 하나입니다. 특정 학업 기술에 국한되지않고 전반적인 기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영리하고 호기심이 많지만 읽기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상상해 봅시다. 이 학생은 뛰어난 언어능력과 수업 토론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읽기 과제를 따라가기가 어렵고 맞춤법에서도 어려움을 느낍니다. 처음에는 교사가 이 학생에게 지적 장애가 있을지 의문을 가질 수 있지만, 좀 더 자세히 평가해 보면 문제가 글을 처리하는 방식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이 드러납니다. 따라서 이 학생에게는 그림으로 단어를 익히거나, 청지각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하는 등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학습 장애의 진단
난독증, 난산증, 난필증 등 각 학습 장애는 학습 장면에서 고유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학업적인 영역에서 강점을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학습 장면에서는 적절한 지원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각 개인에게 맞는 포용적이고 지원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학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각자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는 어떤 상태인지 정확하게 판단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전통적으로는 학습 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능력-성취 불일치 접근 방법을 사용해왔습니다. 능력-성취 불일치 모델은 학습 장애를 식별하기 위해 학생의 인지 능력(일반적으로 IQ 검사)과 학업 성과(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성취도 검사)를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읽기에서 어려움을 겪는 아동을 검사했는데, 아동의 지능 검사 점수가 읽기 점수보다 상당히 높은것을 발견했다고 생각해봅시다. 이 검사 결과는 아동의 지적 능력에는 이상이 없고, 학습에만 어려움이 있다는 걸 알려주기 때문에 특정 학습 장애 진단으로 이어집니다.
그러나 이 모델의 한계 중 하나는 다른 외부적인 요인으로 학습 성과가 낮게 나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 배경을 가진 아동이 경제적 여건을 이유로 다양한 교육 자원에 대한 접근이 제한될 경우, 학업 성과가 낮아져 학습 장애 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잘못된 진단은 교육적 지원 부족 등과 같이 아동의 어려움에 기여하는 기초적인 요인을 간과하기 때문에, 다른 접근법 개발이 요구되었습니다.
중재 반응 모델 (Response to Intervention)
대안적 접근법: RTI
학습 장애를 식별하기 위해 장애인 교육법(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에서 사용된 능력-성취 불일치 기준의 부적절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학습 장애를 식별할 대안을 개발할 필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그리고 2001년 8월 특수 교육 프로그램 사무소가 주최한 정상회담에서 RTI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대안으로 제안되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중재 반응 모델(Response to Intervention, RTI)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인지 능력과 학습 능력에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어도, 곧바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먼저 중재를 제공하고 추후 지켜보는 접근법입니다.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중재 전과 후의 수행 수준이 변화가 없을 때 학습장애로 판별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RTI 접근 방식의 장점
이 접근법은 전통적인 접근법과 달리, 여러 방면에서 대안적인 측면을 가진다고 평가받습니다.
기다림의 미학
학생들이 학습에 어려움을 겪을 때, 조기 개입과 적절한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RTI 접근 방식은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는 방법으로, 학습 성과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의 학습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책임에 주목합니다. 예를 들어, RTI는 지도 교사, 관련 서비스 인력, 행정 직원 및 부모 간의 협력과 공동 책임을 촉진하여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아이들이 잠재력을 꽃피우기 위해서는 우리의 기다림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이의 정확한 상태 진단에 있어서 우리는 성급하게 진단 내리기 보다는, 지켜보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더 나아가, 학습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그들만의 속도로 목표를 향해나아가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도 우리는 기다려주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충분하고 적절한 지원이 주어진다면, 아이들은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며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이룰 수 있습니다. 기다림이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며, 이 과정 속에서 학생들이 성장하고 변화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우리 모두의 책임임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참고문헌
1) Kavale, K. A., & Flanagan, D. P. (2007). Ability-achievement discrepancy, response to intervention, and assessment of cognitive abilities/processes in specific learning disability identification: Toward a contemporary operational definition. In S. R. Jimerson, M. K. Burns, & A. M. VanDerHeyden (Eds.), Handbook of response to interventi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p. 130–147).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 Bateman, B. D. (1965). An educator's view of a diagnostic approach to learning disabilities. In J. Hellmuth (Ed.), Learning Disorders (Vol. 1, pp. 217–239). Seattle: Special Child Publications.
3) Fletcher, J. M., Coulter, W. A., Reschly, D. J., & Vaughn, S. (2004).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some questions and answers. Annals of Dyslexia, 54, 304–331.
4) Ofiesh, N. (2006). Response to intervent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Why we need comprehensive evaluations as part of the process. Psychology in the Schools, 43(8), 883-888. doi:10.1002/pits.20195
지난 기사보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조기 진단이 삶의 변화를 만든다 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조기 진단이 삶의 변화를 만든다 ②
신경 다양성이 주는 교훈: ‘정상’이 아닌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사회의 변화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jenakim0525@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