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MSM이란?


1968년 앳킨슨과 시프린이 제안한 다중 저장소 모델(MSM)은 정보가 인코딩, 저장, 검색되는 인지 과정인 기억을 감각 기억, 단기 기억(STM), 장기 기억(LTM)의 세 가지 순차 저장소를 포함하는 선형 과정으로 설명한다. 정보는 먼저 감각적 입력을 잠시 유지하고 용량이 큰 감각 기억으로 들어가는데, 이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면 STM으로 전달되며, 용량이 제한된 상태에서 15~30초 동안 유지된다. 리허설을 통해 정보는 용량과 지속 시간이 무제한이라고 가정하는 LTM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이 모델은 리허설을 통해 정보가 LTM에 도달할 수 있는 관문으로서 STM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Glanzer and Cunitz (1966)


Glanzer와 Cunitz(1966)는 기억 회상에서 우선순위 및 일시성 효과를 입증하여 MSM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수행 했다. 이 실험에서 46명의 남성 참가자에게 즉시 회상, 10초 지연, 30초 지연의 세 가지 조건에서 단어 목록을 회상하도록 요청했으며, 지연된 그룹은 리허설을 방지하기 위해 뒤로 계산하도록 지시했다. 결과에 따르면 즉시 회상 조건의 참가자들은 처음 다섯 단어(일차 효과)와 마지막 세 단어(일차 효과)를 가장 잘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산 작업이 리허설을 방지했기 때문에 10초 지연 후에는 일시성 효과가 감소하여 30초 후에는 완전히 사라졌고, 우선순위 효과는 지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는 목록의 초기 단어가 장기 기억으로 옮겨졌음을 보여줬다.



실험의 강점과 한계


MSM은 기억 저장소 간 정보의 선형 이동을 설명하지만, 반복(리허설) 외에도 STM에서 LTM으로 정보를 이동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예를 들어, Craik과 Tulving(1975)은 정보가 단순히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깊이 있는 처리 수준에서 처리될 때 더 효과적으로 LTM에 저장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그들의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단어를 시각적, 음운적, 의미적으로 처리한 뒤 단어를 회상하도록 요청받았고, 그 결과 의미적 처리(정보를 맥락이나 의미와 연결)가 가장 높은 기억률을 보였다. 이는 MSM이 정보를 단순히 반복으로 LTM에 저장한다고 가정하는 것에 비해, 정보의 질적 처리 방식이 기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MSM은 기억 저장소의 구분과 리허설의 역할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지만, 정보의 처리 방식과 같은 복잡한 인지 요인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목록의 시작과 끝에 있는 단어의 리콜이 다르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STM과 LTM이 별개의 스토어임을 보여줌으로써 MSM을 뒷받침한다. 이 연구에서 우선순위 효과(첫 번째 정보를 리콜하는 경향)는 즉시 리콜 그룹과 지연 그룹 모두에서 작용하여 목록의 시작 부분에 있는 단어를 리허설하고 LTM에 저장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최근 효과(가장 최근에 제시된 정보를 리콜하는 경향)는 결국 지연 그룹에서만 사라졌으며, 이는 목록의 끝에 있는 단어가 잠시 STM에 남아 있었지만 참가자의 단어 리허설을 방지하는 카운트 작업으로 인해 LTM으로 이동하지 못했음을 보여줬다. 따라서 이 연구는 별도의 메모리 저장소에서 LTM을 STM으로 단일 전송하려면 반복이 필요하다는 MSM의 제안을 더욱 강조한다. 




참고문헌

1) Cherry, Kendra. “What Is Memory?” Verywell Mind, 19 June 2024, https://www.verywellmind.com/what-is-memory-2795006. Accessed 22 November 2024.

2) Harvard University. “How Memory Works.” https://bokcenter.harvard.edu/how-memory-works.

3) McLeod, Saul. “Multi-Store Memory Model: Atkinson and Shiffrin.” Simply Psychology, 16 June 2023, https://www.simplypsychology.org/multi-store.html. Accessed 22 November 2024.





지난 기사보기

가스라이팅 대처법 101

수면 중 자극, 그게 뭔데?

심리학으로 바라보는 대중문화

유사 심리학은 진짜일까?

부드러운 힘, 넛지 효과

나는 왜 자꾸 도망치고 싶을까? 어른아이들의 이야기

기억에 남는 100% 공부법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458
  • 기사등록 2024-12-26 14:03:5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