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박소영 ]



가정마다 다르지만, 보통 대학이나 취업을 하고 자녀들은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함께하던 부모 곁을 떠나 자취를 시작하며 독립한다. 20몇년간 삶을 함께했던 부모님께 자녀들의 독립은 당연하고 대견한 듯 느껴질 수 있지만, 마음 한편이 헛헛하고 속상해지는 분들도 계신다. 이러한 증상을 바로 빈 둥지 증후군 (Empty Nest Syndrome)이라고 한다. 보통 40대에서 60대에서 흔하게 나타난다고 하며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빈 둥지 증후군을 경험하는 부모들이 43% 정도 있었다고 한다 (Song et al., 2023).


자녀들이 독립할 때쯤, 부모들은 대부분 은퇴를 고려하거나 노년기에 입성하면서 빈 둥지 증후군과 상실감, 공허함, 그리고 걱정과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느낀다.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에 의하면 빈 둥지 증후군을 경험하는 부모님일수록 우울증과 비슷한 증상을 경험한다고 한다. 이외, 불안, 그리고 삶의 동기부여를 잃은 것과 같은 마음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빈 둥지 증후군은 4가지 단계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는 예상 (Anticipation)이다. 자녀들이 독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불안하기도 하면서도 어떠한 변화가 있을지 자식과 본인에게도 큰 기대와 희망을 품는 단계다. 다음으로는, 애도 또는 상실감을 느끼는 단계이다. 준비를 마치고, 자녀들이 집을 나간 후, 가족 내 관계와 역할이 바뀌게 되면서 자신이 그동안 책임져 왔던 자녀가 없다는 것에 대한 쓸쓸함을 느낄 수 있다. 세 번째로는, 적응 단계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녀가 없다는 것을 수용하고 자신만의 루틴과 관심사를 찾으며 자아 정체성을 새로 발견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본인이 누릴 수 있는 자유와 삶의 만족감을 찾으며 자신이 그동안 꿈꿔왔던 삶을 찾으며 회복 단계에 들어선다.


보통 2달 정도의 시간을 통해 이러한 감정 변화를 겪지만, 사람마다 그 시간과 영향은 다르다. 흔히 생각하는 가정 구성뿐만 아니라, 요즘 일컫는 황혼이혼이나 사별을 하는 경우, 빈 둥지 증후군을 더 크게 느끼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연구에 의하면 빈 둥지 증후군을 끼치는 요인들은 나이, 결혼 여부, 직장을 다니는지, 아이들이 몇 명이 있는지, 그리고 종교나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개인적인 상황으로 인해서 자녀들의 독립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는 경우, 건강하지 못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으며 의지하는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우울감이나 불안함을 낮추기 위해 술과 담배에 의존하거나 원래는 지낼 만했던 부부관계가 갑작스럽게 악화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빈 둥지 증후군을 통해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렇다면, 부모님들은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첫 번째로 자녀들의 독립을 받아들이는 방법, 두 번째로 자녀들과 꾸준한 관계 유지하는 방법, 세 번째로 친구나 친정 부모님과 이야기하고 만나는 시간을 갖는 것처럼 자신만의 지원 시스템을 찾는 방법이 있다 (Sosso, 2022). 더 나아가, 자신의 목적과 관심사를 찾아보며 혼자 지내는 시간에 익숙해지고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배우자가 있다면, 공동 관심사를 찾으며 그동안 자녀에게 집중적으로 갔던 관심과 시간을 배우자와 가지면서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녀들 입장에서 보면 그동안 고생해 주신 부모님들이 드디어 혼자만의 시간과 여유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에 안도감도 들면서 빈 둥지 증후군과 같은 생각이 이해가 안 될 수도 있다. 특히 자녀가 독립하기 전 원래 안 좋았던 부모님의 중재 역할을 맡았다면 가족 내 구성원의 역할을 그리워하는 경우도 있다. 아이들을 다 독립시키고 자기만의 시간을 가지거나배우자와 시간을 보내는 것이 분명 익숙하지는 않다. 하지만 나름대로 자기 발전의 시간을 가지며, 힘든 시간을 수용하고 건강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들을 찾아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자녀들 또한 독립 후 가족과 꾸준한 연락을 유지하고 그동안의 감사함을 다시 보답하는 마음으로 지원을 해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1) Lawrenz, L. (2021). Empty Nest Syndrome. Psych Central. https://psychcentral.com/health/empty-nest-syndrome

2) Saba Sepahvand, Poorandokh Afshari, Nahid Javadifar, Soroush Shamsifar, Mohammad Hossein Haghighizade; A Study on Empty Nest Syndrom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in Middle-Aged Women in Ahvaz City in 2015, Entomol Appl Sci Lett, 2020, 7 (4): 34-41. 

3) Song, C., Yao, L., Chen, H., Song, Y., & Liu, L. (2023). Prevalence and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empty nesters in China: A meta-analysis. BMC geriatrics, 23(1), 333. https://doi.org/10.1186/s12877-023-04064-0

4) Sosso, J. (2022). Tips for enjoying your empty nest. Mayo Clinic Health System. https://www.mayoclinichealthsystem.org/hometown-health/speaking-of-health/how-you-can-enjoy-the-empty-nest

5) Wang, G., Hu, M., Xiao, S. Y., & Zhou, L. (2017). Loneliness and depression among rural empty-nest elderly adults in Liuyang,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BMJ open, 7(10), e016091. https://doi.org/10.1136/bmjopen-2017-016091

6) Wekiva Center. (2024).Empty Nest Syndrome: Symptoms, Stages And Advice. Wekiva Center. https://wekivacenter.com/blog/empty-nest-syndrome-symptoms-stages-advice/






지난 기사보기

샤워 심리학: 청결로 보는 루틴의 중요성

창의와 영감 심리학

먹방, 마음으로 먹고 있는 미디어

중 2'병', 질풍노도에 휩싸인 어른들

직장생활 실수, 정신승리하기

죽음과 애도, 감정의 변화에 대한 이해

죽음과 애도, 복합적 비애와 지속적 비애 장애

피부 심리학: 스트레스 받을 때 올라오는 뾰루지, 왜 그런걸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463
  • 기사등록 2024-12-24 12:16:1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