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Research method, 연구 방법


인지 처리 연구에 사용되는 한 가지 연구 방법은 laboratory experiment, 즉 실험실 연구이다. 이 방법을 통해 연구자들은 독립 변수(IV)를 조작하고 종속 변수(DV)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인과 관계를 확립할 수 있다. 실제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IV를 제어할 수 있으며, DV가 이 조작의 영향을 반영하도록 보장한다. 또한 참가자들은 편향을 줄이고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조건에 무작위로 할당된다. 실제 실험은 종종 실험실 실험으로 알려진 통제된 인공 실험실 환경에서 수행되며, 이는 복제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절차를 가능하게 하는 것도 특징이다. 이러한 수준의 제어는 변수를 분리하고 연구자들이 특정 인지 과정의 영향에 대해 명확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에 인지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



실제 연구 예시


Loftus and Palmer(1974)은 중요한 선행 질문이 기억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했다. 45명의 학생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9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다섯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7편의 영화를 모두 시청한 후, 참가자들은 사고 차량의 속도를 추정하는 질문 중 하나와 함께 설문지에 답했다. 각 그룹은 "서로 [특정 동사] 차량이 얼마나 빨리 갔나요?"라는 질문을 받았다. 동사의 강도는 5가지로 다양했다. 결과에 따르면 "부러졌다" 조건의 참가자들은 가장 높은 속도 추정치를 (40.8 mph)로 나타냈으며, "접촉되었다" 조건의 참가자들은 가장 낮은 속도를 (31.8 mph)로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선행 질문의 중요한 단어가 참가자들의 인지 과정과 기억을 변화시키는 과거 지식의 스키마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 기사 참고). 예를 들어, "부러졌다"는 동사가 심각한 사고의 인지 스키마를 활성화하여 참가자의 사고 기억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기도 한다. 이는 스키마 이론을 뒷받침하며, 단어 선택조차도 이전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구축된 스키마를 생성하여 우리의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진행 및 결과 


이 연구는 진정한 (실험실) 실험 설계가 인지 처리, 특히 목격자 증언에서의 기억 회상을 조사하는 데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이 연구는 중요한 질문(IV)에서 동사의 강도를 조작하고 참가자의 속도 추정치(DV)를 측정함으로써, 독립적인 표본 설계를 사용하고 표준화된 절차(예: 각 참가자가 7편의 영화를 모두 시청)를 사용하여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후 정보를 조작했다. 수요 특성을 더욱 줄이기 위해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이 연구의 진정한 목적을 추측하지 못하도록 질문지에 중요한 질문을 포함시키도 했다. 이를 통해 연구의 내적 타당성을 높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실험실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동사의 변화가 기억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더 나아가, 이 연구는 법적 환경에서 목격자 증언의 신뢰성을 평가할 때 유용한 통찰을 제공한다. 특히, 심문 과정에서 사용되는 질문의 단어 선택이 목격자의 기억 회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부러졌다'와 같은 강한 동사가 목격자의 기억을 왜곡할 가능성을 시사한 이 연구는 심리학적 지식을 법적 시스템에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목격자 진술을 평가하거나 법률적 질문 설계 시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음을 드러낸다.



실험실 연구가 인지 실험에 자주 사용되는 이유: 


실험실 연구는 인지 심리학에서 선호되는 방법 중 하나로, 연구자가 독립 변수(IV)와 종속 변수(DV)를 명확히 조작하고 측정할 수 있는 높은 통제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통제는 결과의 신뢰성과 재현성을 높이며, 연구자들이 특정 인지 과정의 인과 관계를 명확히 도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Loftus and Palmer(1974)의 연구에서 사용된 표준화된 절차는 실험 결과의 일관성을 보장했다. 그러나 실험실 연구는 몇 가지 한계도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인위적으로 설계된 환경은 참가자들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제한하여 생태학적 타당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참가자들이 실험의 목적을 추측하게 되는 수요 특성(demand characteristics)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실 연구는 높은 통제력을 제공하지만, 연구 결과를 실제 상황에 적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한 연구 방법이다. 




출처

1) “The Four Main Research Methods in Psychology.” St. Augustine College, 5 Oct. 2022, https://www.staugustine.edu/2022/10/05/main-research-methods-in-psychology/.

2) Cherry, Kendra. “How Psychologists Use Different Research in Experiments.” Verywell Mind, 3 Apr. 2023, https://www.verywellmind.com/introduction-to-research-methods-2795793. 

3) McLeod, Saul. “Loftus and Palmer 1974 | Car Crash Experiment.” Simply Psychology, 16 June 2023, https://www.simplypsychology.org/loftus-palmer.html.






지난 기사보기

가스라이팅 대처법 101

수면 중 자극, 그게 뭔데?

심리학으로 바라보는 대중문화

유사 심리학은 진짜일까?

부드러운 힘, 넛지 효과

나는 왜 자꾸 도망치고 싶을까? 어른아이들의 이야기

기억에 남는 100% 공부법

단어 기억 실험으로 본 뇌의 우선순위 시스템

우리의 뇌가 정보를 조립하는 방식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474
  • 기사등록 2025-01-14 21:51: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