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재현
[한국심리학신문=윤재현 ]
필자는 11월 중순부터 12월 초까지 두통, 복통, 근육통이 번갈아 가며 나타나면서 몸이 계속 아팠다. 당시에는 과제와 미팅이 평소보다 많았던 것 외에는 생활 습관이나 식생활, 날씨, 수면 시간 등 특별히 달라진 점이 없었다. 그래서 처음에는 단순히 학교 가기 싫고, 과제하기 싫어서 생긴 꾀병이 일지도 모른다고 필자는 생각했다. 하지만 이것은 어쩌면 꾀병이 아니라 스트레스 혹은 심리적 요인이 신체로 나타난 것일지도 모른다.
셸쇼크 (Shell Shock)
1차 세계 대전을 경험한 군사들 사이에서 피로, 떨림, 혼란, 악몽, 시각 및 청각 장애 등의 심리적 증상을 보이는 것이 나타났다. 이러한 모습을 본 영국의 심리학자 찰스 사무엘 마이어스 (Charles Samuel Myers)가 “셸 쇼크”라는 명칭을 만들었다. 그러나 당시 일부 사람들은 군사들이 단순히 전쟁에 참전하기 싫어서 혹은 다른 이유로 꾀병을 부리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군사적 훈련을 강화하면 해결될 문제라고 여겼다.
그럼에도 마이어스와 심리학자 윌리엄 맥도걸(William McDougall)은 셸쇼크가 트라우마적 경험과 관련된 무의식적인 신체적 자극으로 인한 반응이라고 주장하였다. 구체적으로 쉘쇼크는 전쟁 중 폭격과 같은 외부 자극으로 신경계에 과도한 자극을 주어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셸쇼크는 트라우마적 경험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과거에는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일종으로 취급하였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PTSD와 셸쇼크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다. PTSD는 전쟁 이후 시간이 흐른 후에 감정적 신경학 증상으로 나타난다. 또한, PTSD는 대부분 지속적인 부정적 사건에 대한 기억과 죄책감, 공격성을 드러내는 정서적 모습을 강하게 보이며 신체적 증상이 포함되는 셸쇼크와는 다른 증상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환지통 /환상통 (Phantom Pain)
환상통(환지통) 혹은 유령통으로 불리는 이 질환은 신체의 일부가 절단되거나 없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부분의 감각이나 고통을 느끼는 현상을 말한다. 이 질환은 16세기 외과의사 암브루아즈 파레 (Ambrose Pare)가 처음 보고했으며, 19세기 외과의사 실라스 위어 미첼 (Silas Weir Mitchell)이 이를 정확히 정의하고 증상에 대해 서술했다. 환지통도 셸쇼크와 마찬가지로 전쟁에 참여하여 큰 신체적 손상 혹은 부상을 입은 군인들로부터 흔히 나타났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환지통 혹은 환상통의 통증 정도는 뇌 신호의 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심리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고 하고 있다.
뭔하우젠 증후군 (Munchausen Syndrome)
뭔하우젠 증후군은 타인의 관심과 동정을 끌기 위해 의도적으로 질병과 증상을 꾸며서 보고하는 심리적 장애를 말한다. 1951년 미국 정신과 의사 리처드 애셔(Richard Asher)에 의해 처음으로 뭔하우젠 증후군의 증상이 기술되었다. ‘뭔하우젠’이라는 명칭은 독일 군인인 폰 뭔하우젠 남작이 자신의 경험담을 과장하여 이야기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애정 결핍을 느꼈으며, 질병을 통해 보호받고 관심을 받았던 경험이 긍정적으로 기억된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주로 우울증, 기억상실과 같은 심리적 증상과 구토, 복통 등의 신체적 증상을 보인다. DSM-5에서는 자신의 증상을 거짓 보고 하는 인위성 장애 (factitious disorder imposed on self)와 타인의 증상을 거짓 보고 하는 인위성 장애 (factitious disorder imposed on another)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들이 모두 허위로 보고된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어렵고, 증상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 블랜차드 모녀 살인사건
뭔하우젠 증후군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는 블랜차드 모녀 사건이 있다. 이 사건은 영화 <디 액트 (The act)>의 실제 모티브로 더 잘 알려져 있다. 2015년, 희귀병을 비롯한 여러 질병들을 앓고 있는 딸 집시 로즈 블랜차드 (Gypsy-Rose Alcida Blanchard)가 남자친구인 니콜라스 고드존 (Nicholas Godejohn)과 함께 헌신적으로 자신을 간병하던 어머니로 알려진 디디 블랜차드 (Dee Dee Blanchard)을 살해한 사건으로 당시 미국에서 큰 이슈가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디디는 집시에게 백혈병, 시력 장애, 희귀병 둥을 앓고 있는 것처럼 행동하게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집시는 불필요한 수술을 받았다. 즉, 디디가 집시를 지속적으로 학대를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디디의 이러한 행동을 전형적인 뭔하우젠 증후군의 증상으로 분석했다. 범죄 사건이 일어나기 전, 디디는 집시를 헌신적으로 간병하는 모습을보이며 타인의 관심을 끌었고, 그 결과 집시에게 휠체어와 산소마스크 사용를 하게 하거나 여러 가지 수술을 점점 더 강요했다. 또한, 디디는 집시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숨기기 위해 의사나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를 차단하기까지 했다.
현재까지 셸쇼크, 환상통, 뭔하우젠 증후군 같은 질병이나 증상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신체적 고통은 정신적인 고통이나 스트레스와 완전히 분리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분명해졌다. 실제로 DSM-5에서는 신체적 원인 혹은 의학적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증상과 고통을 느끼는 것을 ‘신체증상장애 (somatic symptom disorder)’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통계에 따르면,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의 최대 40%가 신체증상장애로 진단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특별한 이유 없이 아프다면 그 이면에 심리적 요인이 있는 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신의 몸을 지나치게 혹사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인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출처]
1) 김길원. (2019). [명의에게 묻다] 허풍·거짓이 만들어내는 병 '뮌하우젠증후군'.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416144600017?input=1195m
2) 이금숙 & 홍진희. (2016). 일부러 아픈 척을 한다… 뭔하우젠 증후군은 무엇? 헬스조선.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19/2016041901211.html
3) 인위성 장애. 서울대학교병원 의학 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268&cid=51007&categoryId=51007
4) 이해성. (2012). 고통 못 느끼는 '무적 兵士' 실제로 가능할까.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021730281
5) 김현지. (2009). 겉으론 멀쩡 속에선 콕콕 ‘신경병증성 통증’.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70820/8479898/1
6) 이정희. (2012). 환지통 유발 메커니즘 일부 규명. 메디파나뉴스.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80940&sch_menu=1&sch_gubun=5
7) 정우용. (2020). 환지통 환자 뇌신호 재활치료로 통증 완화.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0776
8) 신체증상장애. 국가정신건강서비스포털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26297&cid=68028&categoryId=68028
9) 김선영. (2019). ‘애틋한 모녀’ 거짓연기에 가려진 끔찍한 비밀 -미국 드라마 ‘디 액트’. 한겨레 뉴스. https://www.hani.co.kr/arti/culture/movie/893467.html
10) 이동국. (2014). 환지통의 발병기전과 치료적 접근. 대한통증. 자율신경학회지, 3(1), 14-21.
11) Jewell, T. (2024, May 6). Your guide to shell shock and PTSD. Healthline. https://www.healthline.com/health/shell-shock-ptsd#symptoms
12) Roberts, D. (2017, 1 1). “Shellshock” and “PTSD”: Two Different Conditions, Two Different Ways of Understanding and Handling War Trauma. Essex Student Journal 9(1) doi: 10.5526/esj16
13) Jones, E. (2012, June 1). Shell shocked. Monitor on Psychology, 43(6). https://www.apa.org/monitor/2012/06/shell-shocked
14) Shapiro, E., Uff, N., & Drymon, V. (2023, December 28). Gypsy Rose Blanchard released from prison after serving time for mom’s murder. ABC News. https://abcnews.go.com/US/gypsy-rose-blanchard-released-prison-after-serving-time/story?id=105925237
15) Associated Press, NBC Chicago Staff. (2023b, December 28). Who is Gypsy Rose Blanchard? What to know about the bizarre case as she is released from jail. NBC Chicago. https://www.nbcchicago.com/news/local/who-is-gypsy-rose-blanchard-what-to-know-about-the-bizarre-case-as-she-is-released-from-jail/3312836/
지난 기사보기
“내가 너에게 홀린 걸까? 네가 나에게 홀린 걸까?” – 스톡홀름 증후군과 리마 증후군
나는 ‘유전무죄’ 입니다. 내가 무죄를 받은 이유가 궁금해?
내가 동경하는 당신을 따라해봐요! – MZ세대의 소비 문화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ysm0704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