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허정윤 ]


도대체 날씨가 언제쯤 추워질까, 계속되는 더운 날씨로 고생하던 날들이 지나고 이제는 완연한 겨울이 되었다.


계절이 바뀔 때, 특히 겨울철이 다가오면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기분 변화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계절성 정서 장애(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라고 부르는데, SAD는 특정 계절, 주로 가을과 겨울에 발생하는 우울증의 한 유형이다.

이 질환은 단순한 우울감을 넘어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심할 경우 치료가 필요한 심리적 문제이다.


SAD의 주요 증상으로는 지속적인 우울감, 에너지 감소, 흥미 상실, 수면 과다, 탄수화물 섭취 증가로 인한 체중 증가, 무기력증, 대인관계 회피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일조량이 줄어드는 계절에 시작되며, 봄이나 여름이 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도 한다. 

그러나 증상이 심할 경우 개인의 직장 생활, 학업,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SAD의 원인: 햇빛 부족과 생체 리듬의 변화

SAD를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은 겨울철 줄어드는 빛의 양이다. 햇빛이 부족하면 뇌에서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고, '세로토닌'이라는 호르몬의 분비는 감소한다.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분비량이 증가하면 피로감과 무기력을 느끼게 되는 반면, 세로토닌은 기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세로토닌의 분비가 줄어들면 우울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가 신체의 내부 생체 시계에 영향을 주며, 결국 SAD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SAD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SAD를 겪는 사람들은 대개 계절 변화에 민감한 생체 리듬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과 20~30대 젊은 성인에게 더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북반구나 고위도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햇빛 부족으로 인해 SAD 발병률이 높아진다.



SAD의 진단과 치료

SAD는 일반적인 우울증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특정 계절에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SAD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 전문가가 환자의 병력과 증상 패턴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특히 2년 이상 특정 계절에만 우울증상이 나타나고 다른 계절에는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 SAD로 진단될 가능성이 높다.



SAD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는 빛을 이용하는 것이다. 빛 치료는 강한 인공조명을 통해 겨울철 부족한 햇빛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생체 리듬을 조정하고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한다. 치료를 위해 특수한 광선 요법 장치를 사용하는데, 하루 20~30분 정도 일정한 시간 동안 빛을 쬐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치료법은 전문가와 상의 후 적절한 강도와 시간을 정해 시행해야 할 것이다.



SAD의 예방 및 관리 방법

SAD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햇빛을 최대한 많이 받는 것이 중요하다. 낮 동안 가능한 야외 활동을 늘리고, 창문을 통해 자연광이 들어오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데 효과적이다. 산책, 요가, 실내 스트레칭과 같은 활동은 SAD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준다.


식단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를 피하고, 신선한 과일과 채소,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건강한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데 유익하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도 필수적이나 수면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은 방지해야 한다. 일정한 기상 시간과 취침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생체 리듬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SAD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SAD는 단순히 계절에 따른 기분 변화로 치부할 수 없는 질환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를 '겨울 우울증' 정도로 가볍게 여기지만, 심한 경우 자살 충동까지 느낄 수 있는 심각한 상태로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적인 노력을 넘어 가족, 친구, 직장 동료 등 주변 사람들의 이해와 지원이 중요하다.


SAD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상태를 무시하거나 증상을 방치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으로 SAD와 같은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를 겪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관심과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SAD는 치료와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다. 겨울철 우울감을 겪는 이들에게 빛과 같은 희망을 제공할 수 있는 사회적 노력과 개인적 실천이 필요하다. 이번 겨울, 계절성 정서 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격려를 건네는 것은 모두의 몫일 것이다.




참고문헌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 Rohan, K. J., Mahon, J. N., Evans, M., Ho, S. Y., Meyerhoff, J., & Postolache, T. T. (2015). Randomized trial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versus light therapy for seasonal affective disorder: Acute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72(9), 862–869. 

3. Lam, R. W., Levitan, R. D. (2000). Pathophysiology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A review. Journal of Psychiatry & Neuroscience, 25(5), 469–480.

4. Melrose, S. (2015). Seasonal affective disorder: An overview of assessment and treatment approaches. Depression Research and Treatment, 2015, 1–6. 






지난 기사보기

감정 맞추기 연습

우리의 생각은 어떤 힘을 가지는가

똑같은 시간인데, 왜 다르게 느껴질까?

성공을 부르는 디펙 초프라의 가르침

정서적 유연성- 건강한 마음을 향한 첫걸음

나를 가장 사랑해야 할 것은 당신이 아니라 나이다.

내가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은 내 성격의 영향을 받는다?

지금의 나는 일년 전의 나와 같은 사람일까?

진화심리학: 인간 행동의 뿌리를 찾아서..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486
  • 기사등록 2025-01-03 18:27: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