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박소영 ]


공부가 지겹고 지칠 때쯤, 책상 위 어지럽혀진 노트북, 공책, 필기도구를 하나하나 가방에 넣고 밖으로 나가 바람을 쐰다. 걷고 걸어서 도착한 도서관에서 약간 색다르지만, 나만의 공간을 다시 만들고 나서 다시 집중해 본다.


원래 공부하던 공간에서 집중이 안 될 때 필자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겠지만, 공간을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내 주위에 누군가가 있느냐에 따라 우리의 학습 효율은 확연히 달라진다. 다른 사람들의 눈치가 보여서일까 아니면 또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일까? 이러한 행동들을 동반 집중, 또는 Body doubling (바디 더블링)이라는 수법을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바디 더블링이란 다른 사람이 옆에 있을 때 자기 일을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비대면 만남이 활성화되면서 굳이 육체적으로 같은 공간 안에 있지 않아도 다른 사람의 존재만으로도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다. 아직 바디 더블링이 과학적으로 효과적인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손쉽게 일에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CNN 뉴스에서 보도되었을 정도로 바디 더블링과 같은 기술은 소리 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바디 더블링이 우리의 집중력에 도움이 되는 이유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동기부여, 안정감, 책임감이 있다. 예를 들어 바디 더블링은 혼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들지 않게 하면서 불안함과 우울감을 줄여 준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통해 일을 해결해 나가면서 보다 협력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사용하도록 도와준다. 



몇몇 사람들에게 바디 더블링이라는 아이디어는 ‘‘굳이 왜?’라는 질문을 던질 수도 있다. ‘굳이 다른 사람을 끌어들여서 같이 일을 하자고 불러놓고, 일도 더 못 하게 되고, 그냥 혼자 하면 될 것을…’ 이라는 생각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바디 더블링과 '같이 일을 하는 것'은 매우 다른 컨셉이다. 같이 일을 하는 것은 같은 일 속 협력하는 것이 있지만, 바디 더블링은 서로 다른 일을 동시에 하면서 서로 지지해 주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바디 더블링은 ADHD와 같은 장애에도 큰 도움이 된다. 특히, ADHD의 행정부 기능 장애는 아주 간단한 일도 크게 느껴질 만큼 일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준다. 해야 할 일을 시작하거나 마무리 짓는 것에 어려움을 겪으며 지속될 때 성취감과 자존감이 떨어지게 만들기도 한다. 특히, 주위의 부정적인 시선이 이러한 증상들을 심각하게 만들며 더 외롭고 우울해지는 감정을 겪을 수 있는데, 바디 더블링을 통해 다른 사람과 함께 일을 하며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을 덜 느낄 수 있다.


다른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일을 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해서 ADHD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긍정적인 이유와 영향만 보고 모든 사람이 바디 더블링의 혜택을 본다는 뜻도 아니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다른 사람과 같이 공부를 할 때 그들의 존재가 더 해가 된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다. 더 나아가 함께 공부하는 사람들 중 모두가 자신의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사람이 아닐 때도 있다. 같이 공부하는데 잘 맞는 친구를 만나는 것 또한 어려운 숙제이다. 또 그러한 친구를 만났다고 해도 시간이 지나면서 더 의지하게 되고 그 사람이 없으면 일이 잘 안되는 것과 같은 부작용이 일어날 수도 있다.


때문에, 다른 사람과 일을 하려면 몇 가지 규칙을 세워놓고 확실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의 시간을 뺏어 먹는, 그리고 자칫하면 서로의 관계만 상하는 계기가 되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몇 가지 팁들로, 다른 사람과 같이 일을 한다면 자신을 도와주고 싶어 하는 친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바디 더블링이라고 집중이 잘 안될 때 다른 사람과 같이 일하면 도움이 많이 된다는데, 나 일할 때 너 할일 하면서 내 주위에 있어 주면 안 돼?”와 같은 소통 방법으로 이야기를 꺼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규칙적으로 만나서 이러한 시간을 가지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규칙 없이 늘 만나게 되면 의존도만 높일 뿐 자기 주도적인 학습에 지장이 있을 수도 있다.




참고문헌

1) Marschall, A. (2023). How The Body Doubling Technique Can Help When You Have ADHD. Verywell mind. https://www.verywellmind.com/how-body-doubling-helps-when-you-have-adhd-5226086 

2) Rogers, K. (2024). The benefits of ‘body doubling’ when you have ADHD, according to experts. CNN. https://www.cnn.com/2023/02/13/health/adhd-body-doubling-productivity-benefits-wellness/index.html 

3) Villines, Z. (2024). What is ‘body doubling’ for ADHD? Medical News Today.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body-doubling-adhd 






지난 기사보기

샤워 심리학: 청결로 보는 루틴의 중요성

창의와 영감 심리학

먹방, 마음으로 먹고 있는 미디어

중 2'병', 질풍노도에 휩싸인 어른들

직장생활 실수, 정신승리하기

죽음과 애도, 감정의 변화에 대한 이해

죽음과 애도, 복합적 비애와 지속적 비애 장애

피부 심리학: 스트레스 받을 때 올라오는 뾰루지, 왜 그런걸까?

빈 둥지 증후군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492
  • 기사등록 2025-01-17 18:27: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