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지아]



그냥 오늘은 안 하고 싶다



기말고사 당일 새벽까지도 넷플릭스를 정주행하고, 꼭 가자고 결심했던 헬스장은 몇 달째 모른 척...왜인지 남의 이야기가 아닌 것처럼 느껴집니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라는 말 들어보셨을 텐데요, 힘든 상황을 피하고 싶지만 그러지 못할 때 많이 쓰는 말입니다. 어차피 피할 수 없으니, 차라리 즐기라는 것이죠. 그런데 즐기는 것 말고 또 다른 선택지가 있습니다. 바로 '미루기'입니다.


제출해야 하는 과제를 미루다 바로 전날이 되어서야 부랴부랴 했던 적, 거절하기 어려운 부탁을 계속 미뤘던 적 등의 경험은 누구나 다양하게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심리학에서 '회피행동(Avoidance Behavior)'이라고 합니다. 회피행동은 위협이 되거나 어렵다고 판단하는 상황, 대상 등을 피하거나 관여하지 않는 것 혹은 이미 개입한 상황이나 대상으로부터 떠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 이상 좌절하고 싶지 않아



그렇다면 우리는 왜 회피행동을 할까요? 진화적 관점에서 회피행동은 생존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독풀을 만져서 아팠던 경험, 맹수로부터 위협받은 경험을 하며 우리 기억 속에 이 대상들은 피해야 한다고 각인됩니다. 만약 이런 기억이 없다면 계속해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회피행동은 불안, 두려움이라는 감정과 함께 우리가 위험을 미리 인지하고 안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사냥과 채집 대신, 일터에서 많은 사람과 상호작용하고 집에 돌아와 개인적인 삶을 살아갑니다. 이렇게 환경이 바뀌어 우리는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대상 또한 달라졌습니다. 이는 매일 마주하는 상사, 동료, 업무 등이 회피행동에 포함된 것입니다.


회사 상사에게 질타를 받거나, 믿었던 가족 혹은 연인에게 배신당하면 실망과 좌절을 안게 됩니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사건과 대상, 생각들을 피하고 싶어 하죠. 그 때문에 질타를 받았던 장소를 피하거나, 당시 내가 사용했던 물건을 버리는 등의 행동을 하게 됩니다.





수치스러워



회피행동의 또 다른 원인으로 '수치심'을 들 수 있습니다. 자신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며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거절당함을 너무 두려워하며 동시에 거부당할 것이라 확신하기 때문에, 무시와 거절로 겪을 괴로움을 줄이기 위해 상황을 회피하는 것입니다.


수치심이란 불쾌한 감정을 피하고자 대인관계를 줄이고, 자신을 보이지 않으려고 합니다. 이는 자신의 약한 부분을 보이는 것에 대한 두려움, 자신이 세운 기준을 스스로 충족하지 못한다고 느끼는 자의식과 연관됩니다. 이렇게 병든 수치심을 가지면 내게 호의를 보이지 않는 사람은 곧 비난이라고 여기는 흑백논리, 부정적 언급만 강조해 생각하는 왜곡이 있습니다. 이로 인한 불쾌감은 또다시 상황을 회피하게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자신을 솔직하게 마주하는 법



회피행동이 우리 삶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잠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3가지 방법을 실천해야 합니다.

 

먼저 '회피행동'을 정의해야 합니다. 내가 회피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왜 회피행동을 하고 있는지 정리하는 것입니다. 생각, 감정, 신념 등을 살펴보고 회피행동이 주는 이익과 손실을 따져보며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로 '회피행동이 주는 영향'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나와 주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는 것입니다. 회피행동을 했을 때 나를 포함한 주변 사람들은 어떻게 느끼는지 평가한다면 변화를 위한 의지가 생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실행하는 나의 모습 그리기'입니다. 계획한 일을 피하지 않고 내 의지로 실행했을 때의 순간을 떠올리는 것입니다. 그때 느꼈던 보람찬 감정을 다시금 떠올린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출처

1) 정정엽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피할 수 없으면 미뤄라, 회피행동", 2023.12.10, 정신의학신문, https://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4969

2) 이창선 기자, " [이창선 기자의 성격장애 발견과 예방 시리즈] ⓼ 회피성 성격장애", 2023.10.20, 미디어생활, https://www.imedialif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924






지난 기사보기

내가 영혼 없는 이유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MBTI를 마케팅에 활용한다면?

스트레스 받을 때 매운 걸 먹는 이유

감정은 어떤 역할을 하는 걸까?

커피를 마시는 이유

당신은 엘리베이터를 타면 어느 위치에 있나요?

그때가 행복했었는데

나 몰래 바람피고 있는 거 아니야?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514
  • 기사등록 2025-01-10 17:52:1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