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한국심리학신문=박소영 ]
새해의 첫날이 밝고 많은 사람들이 뒤섞인 감정을 가지고 또 다른 시작을 맞이한다. 침묵 속 시작되었던 2025년의 새해는 최근 제주항공 참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느끼는 슬픔과 비애로 시작되었다. 힘차게 떠오르는 새해의 아침과 몇몇 사람에게는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를 잃은 채 새로운 해를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지 애도하는 와중 많은 사람들이 인생의 다양한 순간에서 엇갈리는 감정을 가지고 신년을 맞이하였다. 이처럼 즐거워야 할 날들이 그렇지 않음을 느끼며 사람들은 인지적 불협화, 또는 cognitive distortion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행동과 믿음이 맞아떨어지지 않거나 모순되는 감정과 믿음을 가지고 있을 때 겪을 수 있는 현상이다.
사회가 바라보는 크리스마스, 연말, 그리고 새해의 황홀함에 비해 몇몇은 전혀 그렇지 못한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좋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는 사회적 기준으로 인해 그렇지 못할 때 괜한 자괴감, 슬픔, 부끄러움 등을 느낀다. 특히 상담사의 일을 하며 알게 된 깨달음 중 하나가 바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기념일과 축제들이 때론 내담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시간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작년 크리스마스 때 한 내담자와 그의 최근 돌아가신 할머니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며 연말 행사들이 왜 더 괴로운 시간인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다. 돌아보니 상담사라는 직업은 다수가 겪는 경험 외 가장 어둡고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일이라는 것을 기억하게 되었다.
이처럼 인지적 불협화는 자신이 느끼고 있는 감정적 어려움이 다수의 사람이 공감하지 못할 감정이라고 생각하며 더 격한 외로움과 고립감을 느끼게 해준다. 더 나아가, 사회나 주위에서 오는 압박감에 부담을 느끼며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실제로, 인지적 불협화는 우울증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 연구에 의하면 우울증을 진단받은 참가자들이 인지적 불협화를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Byrne et al., 2023).
또, 인지적 불협화는 낮은 동기부여에 영향을 끼친다. 대표적인 인지적 불협화의 예로 흡연을 하는 사람이 있다. 담배가 건강에 왜 안 좋은지 그리고 왜 끊어야 하는지 이유를 다 알고 있지만 행동으로는 그렇게 실천하기가 어려운 때가 있다. 이처럼 몸과 마음이 따로 놀게 되면 내적 갈등으로 불편함과 극심한 불안을 느낀다. 답을 알고 있으면서 어떻게 하면 문제해결을 할 수 있을지 갈팡질팡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특히, 새해를 맞이하며 신년 계획을 세울 때 이러한 인지적 불협화가 끼치는 영향 또한 존재한다. 거창하게 계획을 세웠다가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에 대한 부담감과 실망감을 느끼며 결국은 이루지 못하고 자괴감에 빠질 수 있다.
때문에, 인지적 불협화는 갈등적인 감정과 생각을 정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체계적인 계획과 실천 방법이 필요하다. 많은 방법 중 SMART 목표, 또는 Specific (구체적), Measurable (측정할 수 있는), Achievable (달성할 수 있는), Relevant (현실적), 그리고 Time-bound (기한이 있는)를 세우는 것이 있다. 이는 이루기 어려워 보일 것 같은 목표를 세부화해서 단계적으로 이루는 방법이다. 꼭 습관이나 행동이 아니더라도 인지적 불협화로 인해 어렵고 불편한 감정을 느끼고 있는 사람들 또한 SMART 목표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하나하나 정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평소에 자신을 돌아보고 받아들이며 수용하는 방법을 기르는 것이 인지적 불협화에 도움이 된다. 마음 챙김과 같은 명상을 사용하거나 평소에 스스로 편안함을 줄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보며 인지적 불협화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그의 방법 중 하나이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사회적 지지 시스템을 찾으며 대화를 통해 사람들과 이겨내는 방법이다. 외로움과 고립감을 덜 하기 위해 친구나 가족을 통해서 조금씩이라도 자신의 감정을 풀어내는 것이 감정을 치유하는 데 특히 중요하다.
참고문헌
1) Byrne, M., Higgins, A., PhD MSc, B. N. S., & de Vries, J. (2023). COGNITIVE DISSONANCE AND DEPRESSION: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A CLOSE RELATIONSHIP. Current Research in Social Psychology.
2) 조진래. (2024). [원 클릭 시사] SMART 방법론. 브릿지경제. https://www.viva100.com/20240826010006768
지난 기사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p5562@nyu.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