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수현
[한국심리학신문=김이수현 ]
스마트폰 사용의 모순
“지루하니까, 스마트폰이나 좀 볼까?”, “유튜브 들어가서 잠시 머리 좀 식혀야겠다.”. 지루함이라는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하는 행동인 ‘스마트폰 확인하기’. 하지만 실질적으로 지루함에서 벗어나기 힘든 행위라는 사실을 알고 계신 가요? 할 게 없어서, 심심해서, 갈 곳 잃은 눈과 손 그리고 정신은 모두 스마트폰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찰나의 지루함을 견디지 못하는 현대 사회. 대부분의 인간은 지루함을 경험하면서 살아갑니다. 지루함은 우리의 보편적인 정서 경험이며, 우리와 함께한 정서입니다. ‘지루하다’의 사전적 정의는 ‘따분하고 싫증이 난 상태’이며, 우리는 이 지루한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갖가지 노력을 합니다. 이 노력 중 하나인 스마트폰 사용. 과연 스마트폰 사용이 지루함 벗어나기에 효과적일까요?
PIXABAY
끊임없는 알고리즘
미국의 한 연구에서 지루할 때 플랫폼을 전환하거나 콘텐츠를 빨리 넘기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행동은 지루함을 심화시킨다고 하였습니다. 학생들의 경우, 스마트폰 사용이 많을수록 수업에서 즐거움, 관심 및 노력이 낮았으며 더 높은 지루함을 느꼈습니다. 스마트폰은 사용자를 일관성 없는 콘텐츠의 폭포에 반복적으로 노출해 지루함을 유발하게 합니다. 일관성 없는 콘텐츠에서 의미를 찾으려고 하지만, 너무 많은 콘텐츠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이는 우리에게 지루함을 느끼게 합니다. 우리가 지루함을 느낄 때, 더 의미 있거나 도전적인 활동을 찾도록 하게 하였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대부분의 사람이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단기적으로 지루함에서 벗어나려 합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점점 더 심해지고 벗어날 수 없는 지루함의 악순환에 시달립니다. 지루함은 불안과 우울증과 관련이 있으며, 만성적인 지루함은 위험 감소 행동과 자제력 부족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만성적인 지루함을 겪는 학생들은 학업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데, 학생들은 독서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어, 책 한 권도 읽지 못하는 경우에 처하여 있습니다. 저도, 스마트폰 중독에 빠져 있어, 책 한 권 읽는 데 어려움을 겪고, 시험기간에도 스마트폰을 놓지 못해 어려움을 겪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우리가 지루함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집중력을 유지하지 못하면 지루함을 느낍니다. 하루에 스마트폰이 사용자에게 보내는 알람은 200개가 넘습니다.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우리가 좋아하는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진 알람은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하지 못하게 합니다. 사용자는 이러한 알림에 지속적으로 반응하게 되고, 5분마다 한 번씩 스마트폰을 확인하거나 사용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시각 및 청각 자극이 없는 활동을 지루한 것으로 인식하도록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우리는 이러한 자극에 빠르게 익숙해지고, 집중력을 잃고 지속적인 자극을 원하게 됩니다.
다시, 원 상태로!
자극에서 벗어나 집중력을 다시 회복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책 한 권 앉은 자리에서 정독하기, 뜨개질 하나 완성하기는 집중력을 잃은 우리에게 너무 힘든 과제입니다. 대신, 책 10페이지 읽고 감상문 짧게 쓰기, 스마트폰 놓고 10분 동안 명상하기와 같은 달성하기 쉬운 목표를 세워 하나하나 천천히 달성해 나가게 되면, 스마트폰에서 벗어나 할 일에 몰두하고 있는 나 자신을 되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휴식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도 좋은 방안 중 하나입니다. 집중력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시간 집중한 후 짧은 휴식을 취하면, 주의력도 회복되고,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단, 이 휴식 시간에 스마트폰을 쳐다보는 것이 아니라, 명상하거나 낙서하는 등의 가벼운 여가 활동을 하는 것이 키포인트입니다.
폭포같이 쏟아지는 알림, 나를 위한 알고리즘, 이로 인한 집중력 저하로 스트레스받는 요즘 시대에 나를 위한 시간을 잠시 가지는 건 어떨까요? 아주 작은 목표 세우기를 통해, 지루함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시간을 가져 나에게 도움이 되는 일로 가득 채워지는 하루가 되기를 바랍니다. 지루함에서 벗어나기 위한 스마트폰 사용이 사실은, 우리의 삶을 더욱 지루하게 하였다는 점. 이 사실을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문헌
1) Yellowlees Douglas Ph.D. ,"Compulsive Smartphone Use: Boring Ourselves to Bits", Psychology Today, 2024.11.24, 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how-writing-works/202411/compulsive-smartphone-use-boring-ourselves-to-bits
2) 김가람, 정세원, 최인철 and 최은수. (2023). 한국인의 지루함: 일상에서의 경험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37(2), 189-213.
지난 기사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