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배정원 ]



K-POP 아이돌, 단순한 연예인이 아니다.


콘서트장에서 보이는 K-아이돌, 그들의 재능은 뭘까?/출처=프리픽

대학생 A는 한 아이돌만 덕질할 수 없다. 그녀는 모 아이돌의 외모와 스타일이 마음에 들지만, 또 다른 아이돌의 가창력과 창의력도 좋아 최애를 선정할 수 없다고 한다. 


이렇게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K-POP 아이돌들은 단순한 가수가 아니다. 뛰어난 음악성과 화려한 퍼포먼스를 선보일 뿐만 아니라, 글로벌 팬들과 소통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능력은 단순한 '재능'이 아니라,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렇다면 K-POP 아이돌들은 어떤 지능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다중지능이론이란?


우리가 알고 있는 IQ 뿐만 아닌 다중지능도 지능이다/출처=프리픽


하버드 대학의 심리학자 가드너는 1983년 책 [마음의 틀(Frames of Mind)]에서 인간의 지능이 단순히 언어나 수리적 능력으로 국한되지 않고, 최소 8가지의 독립적인 지능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기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IQ 테스트는 논리-수학 및 언어 지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가드너의 이론은 음악, 신체, 공간, 대인관계 등의 능력도 인간의 지능으로 인정한다. K-POP 아이돌은 이러한 다중지능을 고루 갖춘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할 수 있다.




K-아이돌의 다중지능 유형 분석


음악적 재능만이 K-아이돌의 재능일까?/출처=프리픽

(1) 음악지능 - 아이돌의 기본 스펙일까?


음악지능(Musical Intelligence)은 음악의 멜로디와 리듬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창작하는 능력이다. K-POP 아이돌들은 뛰어난 음악적 감각을 바탕으로 보컬, 래핑, 작곡, 프로듀싱까지 해내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낸다. 대표적으로 BTS의 슈가는 작사와 작곡 능력을 겸비한 아이돌로 평가받으며, 아이유 역시 직접 곡을 만들고 부르는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뛰어난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


(2) 신체-운동지능 - 칼군무는 그냥 되는 게 아니다


신체-운동지능(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은 몸의 자유롭지만 정교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K-POP 아이돌의 칼군무는 오랜 연습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뛰어난 신체지능을 가진 이들이 지속적으로 연습하며 발전시킨다. NCT 태용과 스트레이 키즈 리노는 섬세한 안무를 소화하는 능력과 파워풀한 제스처를 통해 무대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다.


(3) 대인관계지능 - 팬들과의 소통 능력


대인관계지능(Interpersonal Intelligence)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능력이다. K-POP 산업에서는 방송 활동과 글로벌 팬들과의 소통이 중요한 만큼 아이돌들의 대인관계지능이 더욱 투명하게 보여지게된다. 방탄소년단의 RM은 뛰어난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 팀을 이끌고 세븐틴의 승관은 예능에서의 탁월한 언변으로 대중에게 호감을 사고 있다.


(4) 언어지능 - 래퍼와 글로벌 스타의 필수 능력


언어지능(Linguistic Intelligence)은 언어를 효과적으로 구사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뜻한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K-POP에서는 영어 및 다국어 능력이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블랙핑크의 리사는 태국어, 한국어,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며, 방탄소년단의 RM 역시 유창한 영어 실력으로 해외 인터뷰에서 팀을 대표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단지 외국어 능력이 아니더라도, 래퍼들은 빠른 비트 속에서도 정확한 발음을 구사하는 능력을 보여준다.


(5) 공간지능 - 무대 연출과 패션 감각


공간지능(Spatial Intelligence)은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지능은 무대 연출, 뮤직비디오 구성, 패션 감각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표적으로 빅뱅의 지드래곤은 패션 트렌드를 선도하고 샤이니의 키는 직접 스타일링을 연구하는 등 공간지능을 활용한 일상을 보여주고 있다.




아이돌은 다중지능의 집합체… 


K-POP 아이돌은 단순히 가수가 아닌 다중지능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아티스트다. 음악적 재능뿐만 아니라 신체능력, 대인관계 능력, 언어적 재능까지 갖추며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하는 그들의 모습은 다중지능이론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다중지능 테스트를 통해 자신만의 재능을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아래 링크에 접속하여 자신의 재능을 평가해보기 바란다. 


https://multiiqtest.com/






참고문헌

1)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Basic Books.

2) 김현주. (2020).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 송정은. (2021). 감성 AI 확산에 따른 문화콘텐츠 산업 쟁점 및 발전 방안: 가상 K-Pop 아이돌 사례를 중심으로. 경기연구원.

4) 최서원. (2019). 3세대 K-Pop 아이돌의 전략 분석: EXO, 트와이스,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산업개발연구소.

5) 송숙경. (2022). 다중지능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과 한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845
  • 기사등록 2025-03-28 08:23: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