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연우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사회 정체성 이론(SIT)과 개인 및 집단의 이해
Tajfel(1979)의 사회 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 SIT)은 집단 구성원이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이 정체성이 자아 존중감의 중요한 원천이 된다고 제안한다. SIT는 세 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사회적 범주화(개인을 분류하는 과정), 내집단과 외집단의 사회적 비교(내집단: 개인이 속한다고 인식하는 사회적 집단, 외집단: 개인이 자신과 다르다고 인식하는 사회적 집단), 그리고 집단 간 비교이다. 긍정적인 독특성은 자아 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혹은 높은 지위의 집단과 동일시하려는 동기이다. 이 동기는 개인이 우호적인 사회적 정체성을 추구하도록 이끄는 반면, 불리한 비교는 자아 존중감을 낮추게 된다. 이는 개인이 내집단 편애나 외집단 차별과 같은 전략을 통해 긍정적인 독특성을 증대시키려는 행동을 촉발할 수 있다.
이 기사는 Sherif(1954)와 Tajfel(1971)의 연구를 바탕으로 SIT를 평가하고자 한다. SIT를 지지하는 연구들은 개인과 집단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기 때문에 중요하다. 인간은 생존을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에 생리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SIT는 차별의 원인과 외국인 혐오와 같은 문제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을 제시하며, 인간이 사회 내에서 더욱 복잡한 상호 관계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SIT의 실용적인 응용: 집단 간 갈등 감소
SIT의 핵심 강점 중 하나는 집단 간 갈등을 이해하고 이를 줄이는 데 실제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Sherif(1954)는 여름 캠프에서 사회적 상황이 집단 간 태도와 적대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현장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참가자는 12세의 백인, 프로테스탄트, 중산층 소년 22명으로, 사전에 서로를 알지 못했다.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두 개의 집단에 배치되어 자원을 놓고 경쟁한 후, 팀 결속 활동을 진행했다. 갈등은 한 집단에 유리한 게임이나 시나리오(예: 지연된 피크닉)를 통해 유발되었으며, 이후에는 두 집단이 협력해야 하는 상위 목표들(예: 물 공급 문제 해결, 고장난 트럭 견인)을 도입했다. 참가자들의 내집단과 외집단에 대한 태도는 관찰과 자기 보고서를 통해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경쟁이 적대감을 증가시켰고(예: 깃발을 훔치는 행동), 냉각 기간 동안 참가자들은 자신의 집단을 더 우호적으로 평가했다. 이 연구는 SIT가 집단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집단 간 역학이 외집단에 대한 적대감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경쟁이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외집단에 대한 편향과 차별을 초래했음을 나타내며, 협력적이고 상위 목표가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Sherif 연구의 강점과 한계
Sherif의 연구를 평가할 때, 실험의 강점은 실험 참가자들이 실험을 인지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수요 특성을 줄였다는 점이다. 이는 참가자들이 사회적 바람직성을 고려하여 행동을 수정할 가능성을 줄였다. 또한, 오클라호마주 Robbers Cave State Park에서 진행된 캠프 환경은 실험의 생태적 타당성을 높였으며, 자연적인 사회적 맥락에서 SIT와 집단 간 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관찰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자원이나 성격 특성 등 실험 외 변수에 대한 통제가 부족하여 외부 요인이 집단 간 적대감에 미친 영향을 완전히 통제하지 못한 점은 한계로 볼 수 있다.
Tajfel 연구의 강점과 한계
SIT의 한 가지 제한점은 예측 타당성이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일부 개인이 여러 집단에 속해도 모든 외집단에 대해 차별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사실을 설명하지 못한다(예: 성차별적이지만 인종차별적이지 않은 사람). 이는 집단 간 행동이 집단 구성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치관, 도덕적 신념, 그리고 상황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을 시사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Tajfel은 최소 집단 패러다임을 사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14-15세의 소년 48명은 Klee와 Kandinsky의 추상화 작품을 보고 각각 어느 작품을 선호한다고 주장했다.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졌고, 그 후 다른 두 소년에게 점수를 배분하는 방식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참가자들은 내집단에게 더 많은 점수를 주었고, 외집단에 대한 차별을 보였다. 이는 SIT가 집단 간 차별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SIT 연구의 종합적인 평가
Tajfel의 연구를 평가할 때, 내부 타당성이 높다는 강점이 있다.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이 점수를 배분할 때 익명성을 보장했으며, 이는 관계나 배경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했다. 그러나 실험은 생태적 타당성이 낮고, 실제 사회적 집단 간 역학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참가자들이 모두 영국의 남학생들이었기 때문에 다양한 성별, 나이,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에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도 단점으로 지적된다.
SIT의 중요성
SIT에 대한 연구들은 집단 간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사회적 정체성이 어떻게 집단 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연구들은 SIT의 고유한 강점인 높은 실험성(testability)을 증명하며, 다양한 실험을 통해 집단 정체성과 집단 간 행동을 조작한 결과 인과 관계를 제시한다. 그러나 연구들에서 요구되는 특성이나 생태적 타당성의 부족, 복잡한 현실 세계의 집단 간 역학을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IT는 집단 행동과 집단 간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며, 차별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참고문헌
Tajfel, H. (1971). Experiments in intergroup discrimination. Scientific American, 225(5), 96-102.
Sherif, M. (1954). Group Conflict and Cooperation: Their Social Psychology. Routledge.
Turner, J. C., Hogg, M. A., Oakes, P. J., Reicher, S. D., & Wetherell, M. S. (1987).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amyshin0705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