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나A
[한국심리학신문=이유나A ]
첫사랑은 누구에게나 특별한 기억이다. 그 순간의 설렘, 아련한 미소, 그리고 때로는 가슴 시린 아픔까지. 첫사랑은 단순한 과거의 경험이 아니라 평생 마음 속에 남아 우리를 웃게 하고, 때로는 울게 하는 강렬한 감정의 흔적이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첫사랑에 대한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다. 어떤 이들은 첫 연애를 첫사랑으로 여기고, 다른 이들은 짝사랑도 포함시키며, 또 다른 이들은 가장 강렬하게 사랑한 사람을 첫사랑으로 꼽는다. 왜 사람들은 첫사랑의 기준을 각기 다르게 생각할까? 그리고 무엇보다, 왜 첫사랑의 기억은 그토록 오래도록 우리의 마음 속에 남아 있을까?
첫사랑은 단순히 감정의 시작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사랑이라는 복잡한 감정을 처음으로 마주하는 순간이자 자신을 발견하고 성장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첫사랑은 우리의 심리적, 감정적, 심지어 신경학적 변화를 동반하며, 그 경험은 우리의 가치관과 사랑에 대한 기대를 형성한다. 또한, 첫사랑은 순수함과 강렬함이 공존하는 특별한 순간으로, 이후의 사랑에서는 쉽게 재현되지 않는 독특한 감정을 선사한다.
첫사랑의 기준이 사람마다 다른 이유부터, 첫사랑의 기억이 평생 남는 심리적, 신경과학적 원인까지, 첫사랑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심층적으로 탐구해보자 한다. 첫사랑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와 그 기억이 특별한 이유를 통해, 사랑이라는 감정의 본질에 한 발짝 더 다가가 보자.
첫사랑, 단 하나의 정의는 없다?
1. 첫 연애, 사랑의 첫 장을 열다.
많은 사람들은 첫 연애를 첫사랑으로 간주한다. 이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처음으로 다른 사람과 공유한 경험이기 때문이다. 첫 연애는 서투르고 풋풋한 감성이 담겨 있어 그 순수함이 첫사랑의 매력으로 작용 한다. 예를 들어, 24세 여성 ‘잘 익은 아보카도’는 “첫사랑은 말 그대로 처음 사랑한 사람, 즉 제일 먼저 사귄 사람”이라고 주장하며, 이는 사랑의 감정을 최초로 경험한 순간을 강조한다.
2. 이루어지지 않아 더 애틋한 사랑, 짝사랑도 첫사랑일까?
짝사랑을 첫사랑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사랑의 감정을 서로 나누지 않았더라도 강렬한 마음의 움직임을 중요시한다. 20대 남성 ‘차가운 아샷추’는 “첫사랑은 이루어지지 못해서 더욱 아련한 것”이라며, 짝사랑의 미련이 첫사랑의 본질이라고 설명한다. 이는 사랑의 감정이 일방적이더라도 그 강도와 지속성이 첫사랑의 기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가장 뜨겁게 사랑했던 순간이 첫사랑이다.
일부 사람들은 가장 많이 사랑했거나 가장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 사람을 첫사랑으로 정의한다. 27세 여성 ‘치약맛 민트초코’는 “진심을 다해 사랑했던 이”를 첫사랑으로 꼽으며, 사랑의 깊이와 강렬함을 기준으로 삼는다. 이는 사랑의 감정이 단순히 순서가 아니라 그 강도와 영향력을 중시하는 관점을 반영한다.
첫사랑, 왜 잊히지 않을까?
첫사랑의 기억이 평생 남는 이유는 심리학적, 신경과학적, 그리고 감정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1. 첫사랑은 강렬하다, ‘처음’이라는 힘
첫사랑은 개인의 심리적 상태와 경험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지만, 심리학적으로는 초두 효과(Primacy Effect)와 노스탤지어(Nostalgia)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초두 효과는 처음 경험한 사건이나 감정이 더 강렬하게 기억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첫사랑은 사랑이라는 감정을 처음으로 경험한 순간이기에 더욱 선명하게 각인된다. 또한, 노스탤지어는 과거의 경험을 현재보다 더 아름답게 기억하는 경향을 뜻하며, 이는 첫사랑이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특별하고 이상적인 기억으로 남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2. 우리 뇌는 첫사랑을 기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신경과학적으로, 첫사랑은 도파민, 옥시토신,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활성화되어 강한 애착과 행복감을 유발한다. 특히 도파민은 보상 시스템을 자극하여 첫사랑의 감정을 기억 속에 강하게 각인시킨다. 이는 첫사랑이 중독과 유사한 효과를 주어 평생 잊히지 않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다.
심리학적으로, 첫사랑은 청소년기나 20대 초반에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이 시기는 감정적으로 예민하고 신경학적으로 변화를 겪는 시기로, 첫사랑의 감정이 더욱 강렬하게 느껴진다. 또한, 첫사랑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후의 사랑과 비교될 때 더욱 특별하게 기억된다.
3. 순수하고 강렬했던 사랑, 다시 올 수 있을까?
첫사랑은 사랑의 시작에서 특별함을 경험하는 순간이며, 계산 없는 순수한 호기심과 끌림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그 감정이 더욱 진실하고 강렬하다. 이러한 순수함과 강렬함은 이후의 사랑에서 쉽게 재현되지 않아 첫사랑의 기억을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
또한, 첫사랑은 자신이 특별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안겨줌과 동시에, 세상에서 마냥 특별한 존 재는 아니라는 깨달음을 주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첫사랑의 설렘과 환희뿐만 아니라, 깊은 상실감과 아픔도 함께 경험하게 된다. 결국, 첫사랑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사랑의 본질과 자기 자신에 대한 깨달음을 주는 강렬한 경험으로 남는다.
4. 첫사랑을 만드는 건 우리 사회다
사회적, 문화적 배경 또한 첫사랑의 기준과 기억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한국 사회에서는 첫사랑을 순수하고 아련한 감정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미디어와 문학에서 첫사랑을 이상화하고 낭만적으로 그리는 경향과 맞물려, 첫사랑에 대한 인식을 더욱 특별하게 형성한다. 이러한 문화적 요소는 개인이 첫사랑을 회상할 때 감정을 미화하거나 강렬하게 기억하도록 만드는 데 영향을 준다.
또한, 개인의 가치관과 성장 환경도 첫사랑에 대한 정의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다. 가정에서 받은 교육, 주변의 연애관, 사회적 기대 등이 첫사랑을 바라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첫사랑의 경험뿐만 아니라 이후의 사랑에 대한 태도에도 지속적으로 작용한다.
끝맺음
첫사랑의 기준이 사람마다 다른 이유는 사랑이라는 감정의 복잡성과 개인의 경험, 심리적 요인, 사회적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첫 연애, 짝사랑, 가장 강렬하게 사랑한 사람 등 다양한 기준 은 각자의 삶과 감정을 반영한다. 첫사랑은 단순히 과거의 경험이 아니라, 개인의 정체성과 감정적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특별한 순간이다. 따라서 첫사랑의 기준을 단일화하기보다는, 각자의 경험과 감정을 존중하는 것이 더욱 의미있다.
출처
1. 가장 순수했던 시절 설렘을 준 첫사랑의 기준은 뭘까?. [캠퍼스플러스(Campus Plus)]. (2024).
https://www.cam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72
2. 첫사랑의 기준은 뭘까. [brunch story]. (2019). https://brunch.co.kr/@bookerbuker/372
3. 첫사랑, 왜 우리는 평생 애틋해하는 걸까? 과학과 심리학으로 풀어보는 첫사랑의 미스터리. [방구석 헬스]. (2025). https://mybbo.tistory.com/entry/%EC%B2%AB%EC%82%AC%EB%9E%91-%EC%99%9C-%EC%9A%B0%EB%A6%AC%EB%8A%94-%ED %8F%89%EC%83%9D-%EC%95%A0%ED%8B%8B%ED%95%B4%ED%95%98%EB%8A%94-%EA%B1%B8%EA%B9%8C-%EA%B3%BC%E D%95%99%EA%B3%BC-%EC%8B%AC%EB%A6%AC%ED%95%99%EC%9C%BC%EB%A1%9C-%ED%92%80%EC%96%B4%EB%B3%B4% EB%8A%94-%EC%B2%AB%EC%82%AC%EB%9E%91%EC%9D%98-%EB%AF%B8%EC%8A%A4%ED%84%B0%EB%A6%AC
4. [심리 톡톡] 첫사랑은 왜 계속 생각날까?. [인하대학신문]. (2023). https://www.inh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84
5. 여러분의 첫사랑은 누구인가요? 첫사랑 영화&노래. [네이버 블로그]. (2018). https://blog.naver.com/ls_story/221382576876
6. 첫사랑의 기준. 사랑의 정의는 무엇일까. [완중일기]. (2024). https://maily.so/wandiary/posts/2qzpm3pjz4x
7. 각자의 사랑은 왜 다른가?. [brunch story]. (2024). https://brunch.co.kr/@snppok/74
8. 첫사랑의 기억이 오래가는 이유? 어느 연구자의 결론. [동아사이언스]. (2017).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19034
9. 첫사랑이 평생 기억에 남는이유. [brunch story]. (2015). https://brunch.co.kr/@lainydays/16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puella092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