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신연우 ]



인사이드 아웃 - 나무위키



현대 사회에서 행복은 단순한 기쁨으로 정의되며, 우리는 항상 긍정적인 감정을 느껴야 한다는 압박을 받는다. 이러한 행복에 대한 편견은 개인의 감정을 억누르고, 정체성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영화 [‘인사이드 아웃’]에서는 주인공 라일리가 새 도시로 이사한 후 다양한 감정을 억제하고, 결국 정체성 혼란을 겪게 되는 과정을 통해 행복에 대한 편견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보여준다.


행복에 대한 편견과 감정 억압


라일리가 미네소타에서 샌프란시스코로 이사한 첫날 밤, 라일리의 엄마는 아빠를 위해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라고 부탁한다. “너랑 내가 계속 웃고 있으면 큰 도움이 될거야”라는 말에서 ‘계속’이라는 단어가 강조되며, 아픔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숨기라는 사회적 압박이 드러난다. 라일리는 엄마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억지로 웃지만, 이는 기쁨만을 추구하려는 사회적 압박이 개인의 다양한 감정을 억누르게 된다는 모순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결국, 라일리는 자신의 진정한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고 정체성이 왜곡되며, 이는 감정 억압이 어떻게 개인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


자기 결정 이론과 감정의 균형


이 과정에서 중요한 심리학적 이론은 자기 결정 이론 (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이다. 이 이론은 인간이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세 가지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욕구를 가진다고 설명한다. 라일리는 외부의 기대에 부응하려 했지만, 결국 자신의 내면적 욕구와 감정을 인정함으로써 자율성을 회복하게 된다. 초기에는 행복을 추구하려는 강한 외부의 압박이 라일리를 기쁨만을 향해 억누르게 했지만, 다양한 감정을 받아들이면서 라일리는 자기 결정 능력을 회복하고, 감정의 균형을 이루는 길을 찾는다.


슬픔과 기쁨의 공존: 감정의 복합성




영화에서 라일리의 핵심 기억이 슬픔에 의해 파랗게 물드는 장면은 기쁨과 슬픔의 감정이 단순히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 얽혀 있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기쁨과 슬픔은 단일한 감정이 아닌, 서로 상호작용하며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이 장면은 보여준다. 이는 자기 결정 이론에서 말하는 자율성의 중요성과도 연결된다. 라일리가 다양한 감정을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자율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되면서, 그녀의 정체성은 더욱 복합적이고 성숙하게 변해간다.


정체성 회복과 성숙



영화의 결말에서 라일리는 부모님에게 자신의 감정을 털어놓으며, 그동안 억누른 슬픔을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이 장면은 라일리가 행복과 슬픔의 균형을 찾아가면서 정체성이 회복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라일리는 “그리워요”라는 말을 반복하며 슬픔을 인정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이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된다. 그 후, 라일리는 부모와 함께 자신을 감싸며 갈등을 해소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행복을 찾게 된다.


행복에 대한 편견의 해체




영화 속에서 처음에는 단일한 기쁨의 색깔만을 가진 기억 구슬이 후반부에는 기쁨과 슬픔이 혼합된 색깔로 변화한다. 이는 라일리의 정체성이 단일한 감정으로 정의될 수 없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라일리가 다양한 감정을 받아들이고 조화를 이루면서 성숙한 자아를 형성하는 과정은, 감정의 균형이 건강한 정체성에 필수적임을 일깨워준다. 또한, 기쁨과 슬픔이 서로 의지하며 "한 팀"임을 보여주는 장면에서, 감정은 단일한 방식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인사이드 아웃은 행복에 대한 편견이 어떻게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다양한 감정을 통합하는 과정이 개인의 성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잘 보여준다. 라일리는 기쁨만을 추구하며 자신을 억누르려 했지만, 슬픔을 인정하고 수용함으로써 진정한 정체성을 찾게 된다. 감독은 이를 통해, 행복에 대한 편협한 시각이 정체성의 성장과 균형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감정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 건강한 자아 형성에 필수적임을 전달하고 있다. 자기 결정 이론이 강조하는 자율성의 회복은, 개인이 진정한 행복과 성숙한 정체성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 Gross, J. J. (2002).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39(3), 281-291.

    •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9946
  • 기사등록 2025-05-27 08:21: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