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전예은 ]



흔히 사람들은 행복을 물질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곤 한다. 자신이 현재보다 돈이 많으면 더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자신이 현재보다 좋은 집에 살 수 있다면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하루 중 언제 가장 큰 즐거움을 느낄까? 행복심리학자 대니엘 카너먼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은 하루 중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가장 큰 즐거움을 느낀다고 한다. 또한 특이한 점은, 인간은 돈을 타인과 함께 혹은 타인을 위해 사용할 때가 나를 위해 사용할 때보다 더 큰 행복을 느낀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는 행복을 위해서는 물질적인 측면보다는 사회적 관계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행복은 인간의 삶의 목표이자 가장 중요하게 추구하는 가치다.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라고 헌법에서도 규정할 만큼, 행복은 인간의 삶에 있어 뗄 수 없는 가치다. 미국의 심리학자 에드 디너는 행복을 '주관적 안녕감'이라고 정의했는데, 이처럼 행복에 대한 정의는 다양한 주관적 가치를 품는다. 따라서, 행복은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여러 명이 같은 상황에 있을 때에도 행복한 사람과 행복하지 않은 사람이 나뉜다는 것이다.  한편, 행복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행복을 사랑, 우정 등 인간관계에 조망하여 정의하는 사람일수록 삶에 대해 만족감이 높다고 보고하는 경향이 있음을 밝혀냈다. 


최근 MBTI 검사가 한국에서 큰 유행을 이끌며 자신이 내향형에 속하는 사람인지 외향형에 속하는 사람인지를 알고 이것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했다. 내향적인 사람들은 홀로 있는 시간이 많으며, 본인 또한 홀로 있는 것을 선호하곤 한다. 그렇다면 위에 언급한 연구와 같이 행복은 사회적 관계에서 온다면, 사회적 관계가 외향적인 사람에 비해 활발하지 못한 내향적인 사람은 외향적인 사람들보다 덜 행복해야 하는 것일까? 내향적인 사람들은 어디에서 행복감을 얻을 수 있을까? 


인간은 내향적일수록 외로움을 더 크게 느낀다고 한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가 안정적이고 다양할 때보다, 고립에 놓여있을 때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고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데 더 큰 관심을 보인다고 한다, 또한, 자신의 삶에 있어서 타인을 더 가깝고 친밀하고 깊은 의미로 정의한다고 한다. 심리학자 Fleeson, Malanos와 Achille의 연구는 이러한 주장에 힘을 싣는다. 이들은 외향적인 척하는 사람들과 외향적인 사람들을 비교하는 연구에서 사람들을 무선 할당하여 한 집단에는 토론에서 외향성을 보이도록 요구했고 다른 집단에는 내향성을 보이도록 요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개인의 외향성과 상관없이 외향성의 조건을 요구받은 집단이 더 높은 긍정 정서를 보고했다. 더불어, 내향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도 원래대로 내향성을 요구받을 때보다 외향성 조건에 속했던 사람들이 더 즐거워했다. 이는 내향적인 사람들이 외향적인 사람들에 비해 사회적 관계와 행복 사이에 연관성을 깊게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가 무엇일까? 예를 들어, 물은 적어도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에서는 무한 공급되고 있는 자원이기 때문에 우리 머릿속에서 계속 물을 찾거나 갈증이 나는 경우는 드물 것이다. 그러나, 사막에 가면 우리는 머릿속이 물과 갈증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찰 것이다. 이처럼 희소하지 않고 늘 즉각적으로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상태에서는 그것이 주는 영향력이 적지만, 희소하고 추진력을 통해 이룰 수 있는 목표는 사람에게 더 가치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회적 관계는 그 관계망이 충만한 외향적인 사람들보다 희소한 내향적인 사람들에게 더 행복으로서의 의미를 갖게 한다. 


우리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내향적인 사람들은 타인에게 무관심하거나, 인간관계를 소홀히 생각한다는 말은 정답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내향적인 사람들에겐 사회적 관계가 행복감과 직결되는 가치이기 때문에 어쩌면 인간관계에 더 상처받는 사람 또한 내향적인 사람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인간관계를 잘 다룰 수 있다면, 우리가 삶에서 가장 많이 마주하는 것이 인간관계와 관련된 것들인 것처럼, 내향적인 사람은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삶의 순간마다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지난 기사

반려인 기자가 함께하는 '펫로스 증후군' 극복하기

“다이어트하고 자존감이 높아졌어요.”라는 말의 오류

우리는 아직 어른이 되지 못했다

더이상 나아갈 수 없을 때: 인문학이 당신을 치유할 때

고통은 늘 현재 여기에 존재한다

우리는 끊임없이 변화할 수 있다.

거절당하지 않아도 되는 당신에게




출처

신지은, 김정기, 서은국 and 임낭연. (2017). 내향적인 사람은 어떻게 하면 더 행복해질까? 관계 중심적 행복관의 중요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31(1), 41-60.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385
  • 기사등록 2023-01-06 14:29:3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