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전예은 ]



우리가 삶을 살아가며 일을 하고 일을 통한 성취를 얻으려 할 때에는, 늘 동기가 있기 마련이다. 성취동기란 중요한 성취를 달성하고 완전해지려 하며 높은 기준을 달성하려는 욕구를 이른다.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을 알아보면, 성공적인 사람은 늘 야망이 있고 강력한 에너지를 지니고 살아가며 삶 속에서 인내를 이뤄낸다는 것이었다. 이렇게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들은 대개 재정적 성공, 건강한 사회관계, 우수한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을 목표로 삼으며 삶을 살아간다고 한다. 우리는 이들로부터 건강한 삶의 방향성과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우리의 삶에 있어 성취동기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성취동기가 없다면, 삶을 결코 생명력 있게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에리히 프롬의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라는 책에서는 '사랑은 이해하고 설득하며 생명력을 불어넣으려 애쓴다. 이런 이유로 사랑하는 사람은 쉬지 않고 자신을 변화시킨다.'고 말한다. 생명력이 넘치는 삶은 결국 변화의 삶을 사랑한다는 의미이고, 그렇기에 성취동기는 우리의 삶에 있어 어떻게든 우리를 변화시킨다. 


내재적 동기란 그 자체가 좋아서 어떤 행동을 하려는 욕구를 일컫는다. 가령, 시험을 잘보기 위해서, 좋은 시험 점수를 받아 보상받기 위해서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닌, 공부가 좋아서 공부 자체가 목적이자 욕구인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에 반해, 외재적 동기란 약속된 보상을 받거나 위협적인 처벌을 피하기 위해서 어떤 행동을 하려는 욕구를 설명한다. 한 초등학생 자녀에게 받아쓰기에서 100점을 받아오지 않으면 핸드폰을 1시간 압수하겠다는 처벌을 하는 것은 그 자녀를 외재적으로 동기화시키는 일이다. 우리는 일 끝에 보상이 주어진다면 그 일을 해내고자 하는 성취동기가 더욱 상승할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의외로, 이는 역효과를 불러일으켰다고 한다. 책을 읽고 나서 보상을 약속했을 때 책을 읽는 데에 할애하는 시간이 오히려 줄었다고 한다. 왜 그럴까? 보상을 주면서까지 시키는 일에 대해 가치를 못 느끼기 때문이다. 결국 내재적 동기는 우리에게 큰 에너지를 공급한다. 삶에 대해, 성취에 대해 노력할 에너지 말이다. 


우리가 끊임없이 성취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어떻게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의미가 있을까? 첫째, 확실한 다짐을 하는 것이다. 도전적인 목표는 성취하려는 동기와 욕구를 자극한다고 한다. 확실한 다짐은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달성할 수 있고, 현실적으로 이뤄낼 수 있으며, 시의적절한 목표이다. 예를 들어, '2달동안 5kg을 감량하겠다.'와 같은 목표를 말하는 것이다. 둘째, 목표를 친구나 가족에게 선포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공개적으로 한 약속과 같기 때문에 목표를 성취해 낼 가능성이 훨씬 높아진다고 한다. 셋째, 목표를 지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목표를 이뤄낼 것인지 계획을 세우고 이에 대해 더 집중하는 사람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넷째, 장기적인 목표를 지원하는 단기적인 보상을 주는 것이다. 가령, 5달 동안 15kg를 감량하는 사람이 일주일에 한 번은 치팅데이를 갖겠다는 보상을 주면서 목표를 실행하면 인내심을 길러준다. 또한 진척도를 기록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체중 감량 그래프와 같은 것 말이다. 여섯번째로,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다이어트를 한다면 집에서 라면을 치우는 것 같은 행동을 말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우리는 동기와 목표가 있다면 언젠가는 성취해낼 수 있다. 어떤 속도로 하느냐 또한 중요하지만 어떻게 성취해냈느냐 왜 성취해냈느냐는 우리 삶의 의미를 되새겨준다.




지난 기사

반려인 기자가 함께하는 '펫로스 증후군' 극복하기

“다이어트하고 자존감이 높아졌어요.”라는 말의 오류

우리는 아직 어른이 되지 못했다

더이상 나아갈 수 없을 때: 인문학이 당신을 치유할 때

고통은 늘 현재 여기에 존재한다

우리는 끊임없이 변화할 수 있다.

거절당하지 않아도 되는 당신에게

집순이들 여기여기 모여라




참고문헌

David G. Myers, C. Nathan DeWall, 마이어스의 심리학개론, 시그마프레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5438
  • 기사등록 2023-01-18 21:46:2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