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최서영 ]



넷플릭스의 한 드라마를 보며 의아한 점을 발견한다. 은행 강도가 인질극을 벌이던 중 별안간 인질과 사랑에 빠졌기 때문이다. 과연 현실적으로 범죄자를 사랑하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 심리학적으로는 이를 ‘스톡홀름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필자는 과연 실제로 가능한지에 대해 의문점이 들어 이에 관해 다루려고 한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어디에서 유래하였는가?



1973년 8월 스웨덴 스톡홀름의 한 은행. 은행 강도 2명이 갑자기 들이닥쳐 은행원 4명을 붙잡는 인질극이 발생했다. 그러나 인질과 인질범 사이에 애틋한 사랑이야기가 오가는 의아한 상황이 펼쳐지기 시작한다. 


사건 이후 전문가들에 의해 인질의 정신을 분석한 결과 인질들이 인질범에 동화되어 그들의 편에 서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보고했다. 또한, 인질범들에 대해 애착을 느낄 뿐만 아니라 경찰들에 대하여 되려 적대적인 감정을 보였다. 위와 같은 은행 강도 사건이 스웨덴의 수도인 스톡홀름에서 발발했다고 하여 이를 ‘스톡홀름 신드롬(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스톡홀름 증후군이란 인질범이 인질극을 벌이는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되려 범죄자를 우호적으로 대하는 방어기제이다. 왜냐하면 생명의 위협을 받는 상황에서 유일하게 살아남는 방법은 가해자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질극 이외에도 인질에게 스톡홀름 증후군이 나타나는 상황이 여럿 존재한다.




사랑하는 연인관계 혹은 혼인관계에서 나타나는 스톡홀름 증후군


지난 기사에서 매맞는 아내 증후군에 대해 다루었다. 다시 한번 간단히 설명하자면 매 맞는 아내 증후군이란, 가정폭력에 시달리는 아내의 심리적인 증상을 의미하며 자신이 잘못했기에 폭력적인 상황이 유발되었다고 잘못 오해하며, 학대를 당한 이후 극심한 공포와 스트레스로 점철되어 다양한 심리적, 신체적 증상을 느끼는 경우를 의미한다. 


매맞는 아내에게 나타나는 심리적 증상 가운데 스톡홀름 증후군을 찾아볼 수 있다. 덧붙여, 사랑을 나누는 연인관계에서 폭력적이고 착취적인 데이트 폭력으로 변질될 경우에도 위와 같은 증후군이 나타난다. 이때, 연인 혹은 혼인 관계에서 학대를 당할 경우 대게 신고를 하지 않거나 관계를 정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 사람이 자신의 장밋빛 미래를 함께 할 사람이라는 것에 굳은 신뢰와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폭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학대하는 이가 동시에 애정표현을 할 때, 상대방이 폭력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스톡홀름 증후군이라고 볼 수 있다.  




스톡홀름 증후군의 특징 및 치료


스톡홀름 증후군은 인질극과 같은 소수의 범죄 현상에서 나타나며 질병으로 분류하기에는 극소수의 현상이기 때문에 이를 명명할 정확한 기준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대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 피해자가 가해자에 대해 애착 감정을 지닌다
  • 2. 자신을 구조하려는 친구, 가족, 경찰이나 공권력의 대상들에 대해 적대적인 감정을 느낀다.
  • 3. 가해자가 피해자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느낀다.


임상적으로 스톡홀름 증후군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준하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그와 유사한 치료 방법을 사용한다. 대표적으로는 인지적 치료 방법을 사용하여 희생자의 인식, 비논리적인 사고 등을 파악하고 환자의 심리 상태를 회복하는 것에 최우선으로 두고 있다. 치료 과정은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1. 자동으로 발생하는 생각을 따라야 한다.

2. 당신의 생각과 행동 사이의 관계를 추적하고 감정을 평가하며

3. 자신의 결론을 확인하거나 논박하는 사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4.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진정한 평가를 해야 한다.

5. 결론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는 기능 장애를 인지해야 한다. 






지난기사

나는 제2의 셜록 홈스를 꿈꾼다.

"당신의 가정은 안녕하신가요?"

타노스의 공격성, 나쁜 것만은 아니다?

사이코패스지만 뇌신경과학자가 된 교수의 이야기

내가 죽이지 않았어요... 내 안의 악마가 죽인 거예요

착한 사람에게는 좋은 일만 일어날까요?

노인 범죄, 우리가 애써 피해 오던 것들에 대하여 (1)

노인 범죄, 우리가 애써 피해 오던 것들에 대하여 (2)

묻지마 범죄자, 정유정을 심리학적 관점으로 분석해보면...






참고문헌

- 황세웅. 15년 1월 23일. ‘안산 인질사건으로 본 스톡홀름 신드롬’. 보안뉴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5143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6789
  • 기사등록 2023-07-17 10:30:5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