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서연
[The Psychology Times=한서연 ]
출처:unsplash.com
도전 회피 성향? 완벽주의 성향!
연초가 되면 지난해를 보내고 신년을 맞이하면서 우리는 덕담과 행운을 나누고 더 나아가기 위해 새로운 목표들을 세우곤 한다. 나는 매번 새해를 맞이할 때가 늘 고민이었다. 다들 눈에 보이는 뚜렷한 목표를 가지고 있고 멋진 성과를 보이는 것 같은데 난 이도 저도 아닌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 같았다. 이런 느낌은 내 일상생활에서도 이따금 느껴졌다. 다이어리 꾸미기가 유행인 요즘 일기 쓰는 것을 좋아하는 나도 유행에 편승하기로 다짐해 많은 재료를 샀지만 정작 고민만 하다 시작하지 못했다. 완벽하지 않은 것에 대한 불안함이었다. 다른 사람들이 만든 것, 다른 사람들이 세운 계획들, 이룬 성과들을 보면 다 완벽해 보이는데 나는 그런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니 처음부터 도전하지 말아야지 하는 생각이 강했다. 이런 완벽주의 성향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걸까?
완벽주의 성향은 한 개인이 높은 기준과 완벽한 결과물을 추구하는 성격적 경향을 나타낸다. 이는 대개 긍정적인 특성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너무 극단적으로 이를 추구하는 경우에는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자신에게 높은 기대를 갖기도 하며, 주변 사람들이나 환경에 대해서도 동일한 기대를 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이런 완벽주의자들은 세부 사항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완벽한 결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며, 때로는 계획을 철저히 세우고 완벽한 통제를 원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완벽주의는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안을 초래하기도 하는데 완벽주의자들은 자신에게 엄격하게 대하고, 성공과 실패에 대한 기대치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실패 시 자존감이 크게 흔들릴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더해 이러한 상황은 우울증, 불안장애,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우리가 느낄 수 있는 심리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1. 자아효능감 저하 (Reduced Self-Efficacy): 완벽주의자들은 자신이 설정한 높은 기준에 항상 부합하려고 노력하지만, 그것을 달성하지 못할 때 자신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번에도 더 높은 기준을 설정하거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2. 성취 불가능성의 강화 (Heightened Sense of Unattainability): 완벽주의 성향은 실현 가능한 목표를 더 높은 수준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느끼게 만들 수 있어 높은 목표를 설정하면 성취가 어려워지고, 계속적인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3. 정서적 스트레스 증가 (Increased Emotional Stress): 완벽주의자들은 자신의 높은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때 강한 감정적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 이는 자신에 대한 불안감, 스트레스, 우울감으로 나타날 수 있다. 4. 피로감과 탈진 (Fatigue and Burnout): 완벽주의자들은 지나치게 완벽을 추구하고 그에 따른 과도한 노력으로 인해 피로감과 탈진을 경험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노력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피로를 느끼게 할 수 있다. |
완벽의 아름다움에서 도전의 아름다움으로
심리적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완벽함을 너그럽게 받아들이는 자기수용과 관용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한계를 이해하고, 실용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 완벽하지 않은 결과도 가치 있게 받아들이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스트레스 관리 기술이나 자기계발 방법을 통해 완벽주의적 성향을 완화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성향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완벽하지 못할 결과가 두려워 시작하는 것을 망설이고 있다면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는 말이 있듯이 불안함을 이겨내고 한 번 도전해 보는 것은 어떨까?
지난 기사
출처: 안신혜/2010/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열등감 및 대인관계 적절성의 관계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irene03052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