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서두연 ]


디즈니는 언제부터인지 사람들의 인식에 스며들어 열광하게 한다. 전세계에 있는 디즈니랜드만 봐도 각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그곳에 가면 사람들은 동심으로 돌아간 느낌을 받고 행복해한다. 필자는 사람들이 디즈니를 좋아하고 열광하는 이유가 동심에 있다고 생각한다. 디즈니는 잊어버리고 있던 어린 시절의 행복을 떠올리게 한다. 



최근에 디즈니 100주년 영화 위시가 개봉하며 화제를 불러왔다. 필자는 성인이지만 이 영화를 보며 동심으로 돌아간 느낌을 받았다. 영화가 시작하면 디즈니의 상징인 디즈니성과 함께 폭죽이 터진다. 영화를 보러 온 관객들은 시작 영상을 보며 설렘을 느낀다.


영화 위시는 우리의 소중한 꿈에 대해 이야기한다. 디즈니 영화는 항상 교훈을 담고 있다. 교훈은 어린이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어른에게도 해당한다. 영화에서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우리가 디즈니를 더 좋아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사람들은 영화를 통해 심리적인 아픔에 위로를 받기도 하고, 힐링을 받기도 한다.


영화 위시는 아샤라는 주인공이 특별한 능력을 지닌 별을 포함한 여러 사람의 도움을 통해 악인인 매그니피코에 대항하는 이야기이다. 영화 속 배경은 마치 동화 속에 들어간 것처럼 환상적인 풍경을 자랑한다. 영화 위시는 소원을 들어주는 로사스라는 왕국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뮤지컬 영화인만큼 희망찬 가사를 담고 있는 OST가 이 영화의 포인트이다. 영화 속 OST중 메인 테마곡인 "This wish(소원을 빌어)"는 간절한 소망을 담은 가사를 담고 있다.


위시도 꿈과 희망을 가득 담고 있는 영화이다. 필자는 위시라는 영화를 보면서 감동을 받았고, 늘 소망하며 사는 삶을 살고 싶어졌다. 또한, 필자가 생각하기에 영화 위시는 힘든 사람들에게 위로가 될 영화라고 생각한다. 소원을 빌어 OST에는 더 나은 우릴 위한 큰 꿈, 수많은 시련 찾아온다 해도 나 하나씩 헤쳐나갈거야라는 등의 희망적인 가사가 나온다.


영화 속 주인공 아샤를 비롯한 영화 속 인물들은 유색인종이다. 필자는 디즈니가 인종차별을 줄이고자 노력하는 기업으로 유색인종인 인물을 영화에 등장시킴으로써 어린아이들에게 인종에 대한 편견을 가지지 않도록 하는 좋은 방법이자 도전이라고 생각한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디즈니는 마치 온 세상 아이들을 편견을 가지지 않고 보며 모두에게 희망을 선사하는 기업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처럼 여겨진다.


인종차별을 겪는 사람들에게도 많은 심리적 위로가 될 수 있다. 사람들의 심리를 위로하는 힘을 가진 영화 위시는 사람들에게 소망을 준다. 영화는 우리에게 삶을 살 때 꿈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 마치 내 주변에서 있을 법한 고통과 위기를 겪는 사람들이 주인공이 되어 꿈과 희망을 이야기하는 점도 영화의 특징이다.


디즈니는 여러 작품 흥행에 계속해서 실패하면서 여러 곳에서 위기라고 이야기되고 있다. 필자는 디즈니가 위기라고 하더라도 디즈니라는 단어가 주는 힘은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디즈니는 항상 우리에게 행복을 주고 희망을 주고 교훈을 준다. 어릴 때의 기억이 여전히 우리의 마음 속에 남아있기에 사람들은 항상 마음 한켠에 디즈니를 품고 사는 것이 아닐까.


상상을 현실로 만드려는 노력이 계속된다면, 디즈니는 영원히 우리의 곁에 있으며 행복을 주지 않을까? 디즈니의 의미에 좀 더 집중한다면 앞으로 더 좋은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지난 기사


외모보다 내면이 중요하다는 말, 진짠가요?

교사, 당신의 심리는 안녕하신가요?

잠'들지 못하는 하루, 수면심리학으로 들여다 보기

혼자가 편해요

데블스 플랜으로 본 군중심리

사람들은 왜 마약에 중독될까

우리의 삶에도 아침이 올까?

무인도의 디바'로 보는 음악이 주는 힘

우리가 사람을 규정하는 법-라벨효과

공감간극효과에 대해서






출처.

https://amin2417.tistory.com/entry/%EB%94%94%EC%A6%88%EB%8B%88%EC%9D%98-%EC%97%AD%EC%82%AC%EC%99%80-%EC%84%B1%EA%B3%B5%EC%9A%94%EC%9D%B8

https://blog.naver.com/kma450815/222275759336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psytimes.co.kr/news/view.php?idx=7933
  • 기사등록 2024-01-22 10:06: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