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셔터를 눌러 인화된, 우리의 기억-영화 ‘바다가 들린다’를 보고
- [The Psychology Times=노민주 ]다들 ‘기억’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슨 생각이 드는가? 아주 어린 시절 친구와 싸웠던 생각이 나거나 최근 코앞에서 버스를 ...
- 2023-08-26
-
- 힘겨운 싸움을 하는 모든 이에게
- [The Psychology Times=양진서 ]프레임에서 제외된 수많은 사연미장센, OST, 배우의 연기 등 영화를 구성하는 요소는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것은 &lsqu...
- 2023-08-01
-
- 영화 '엘리멘탈' 속 심리학 1편
- [The Psychology Times=장예주 ]1. 사진출처: 다음영화 '엘리멘탈'2. '상보성 원리 ... 대립적인 것은 상호보완적이다', 인저리타임, 조송현, https://www.injuryti...
- 2023-07-06
-
- 헤어질 결심과 다시 만날 결심
- [The Psychology Times=강예린 ]재생 버튼을 누르지 못해 한참 손가락을 쥐었다가 폈다가 반복했다. 낮이라 희미하게 들어오는 불빛이 노트북까지 닿았다. 글씨를 한...
- 2023-04-14
-
- 치열하고 다정하게 살아갈 수는 없을까?
- [The Psychology Times=조수아 ]살면서 한 번쯤 삶이란 무엇인지,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아가고 있는지와 같은 인간 존재 이유에 대해 고민해 본 이들이 적지 않을 것...
- 2023-03-29
-
- 핏빛 엔딩을 맞이한 모방의 여정
- [The Psychology Times=양진서 ]인간은 모방의 동물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표현했다. 이는 인간이 혼자 살 수 없으며, 서로 관계를 ...
- 2023-03-20
-
- 발 없는 새인 당신, 이제는 쉬고 싶나요?
- [The Psychology Times=강예린 ]“다리가 없는 새가 살았다. 이 새는 나는 것 외에는 알지 못했다. 새는 날다가 지치면 바람에 몸을 맡기고 잠이 들었다. 이 새가 땅에...
- 2023-02-28
-
- 디스토피아에서 마주한 타인의 존재
- [The Psychology Times=양현서 ]디스토피아 영화, 그중에서도 좀비물이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이유 우리는 왜 좀비물이나 재난재해 영화처럼 인류 재난 서사를 소재...
- 2023-02-27
-
- 열다섯의 서투른 비행
- [The Psychology Times=양진서 ]꿀을 향해 바쁘게 움직이며 비행하는 벌새. 턱없이 작은 날개로 힘차게 날갯짓하는 모습이 영화 의 주인공 은희(박지후)와 비슷하다. ...
- 2023-02-27
-
- 물은 피보다 진할 수 있다
- [The Psychology Times=조수아 ] ‘피는 물보다 진하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혈육의 정이 깊음을 이르는 말로, 피로 이어진 가족의 ...
- 2023-02-26
-
- 곱게 늙는 것에 대하여
-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연애와 결혼에 대한 환상은 없지만 비혼의 중년으로서 연애와 결혼에 대한 환상은 거의 없다. 어딘가에 운명적 인연이 아직 숨어있을...
- 2023-02-23
-
- 재미량보존의 법칙
- [The Psychology Times=신치 ]영업을 하던 시절에 지인의 소개로 영화 소모임 멤버로 참여하게 되었다. 어느 영화평론가가 운영하던 곳에서 자생적으로 생긴 모임이...
- 2023-02-16
-
- 남편이 육아와 살림을 한다면
-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학교를 졸업하고, 밥벌이를 하면서 어릴 때 어떤 꿈을 꾸었는지 잊었다. 월급으로 할 수 있는 것들에 기뻐하면서 하루하루 보냈다. 어...
- 2023-02-06
-
- 여자로 사는 게 버거울 때
-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한 사람의 정체성은 다양한 호칭에서 드러난다. 우리는 가족 안에서 관계의 그물망에 연결되어 가족 구성원으로 복잡하고 다면적 입...
- 2023-01-31
-
- 불량 엄마지만 괜찮아
-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한국영화나 드라마에서 부모, 특히 엄마의 존재는 어른으로 묘사된다. 한 인간으로서 인격적 면에서는 불완전하고 삐뚤어졌어도 자...
- 2023-01-26
-
- 애증의 모녀 관계에 있다면
-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는 노아 바움백 감독이 연출한 에서 여주인공 역할을 했던 그레타 거윅이 만든 영화이다. 가족도 싫고, 살던 동네도 싫어서 떠나고 싶...
- 2023-01-16
-
- 모든 것이 떠나가네
-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현실 부정은 어디에도 도움이 안 돼. 고정관념에 동조하는 결과를 낳을 뿐.중년은 나이만이 먹은 게 아니라 가장 바쁜 시기다. 일하면...
- 2023-01-09
-
- 이혼을 생각할 때
-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중년의 비혼자로 살다 보면 어느 순간 연애담을 끝내는 시절을 맞이한다. 물리적으로 연애할 기회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설령...
- 2023-01-02
-
- 아이 낳고 키우다 늘어진 뱃살을 발견했을 때
- [The Psychology Times=김남금 ]나는 그냥 니가 좋아. 위키백과에 따르면, ‘아줌마’란 결혼한 여자를 평범하게 부르는 말이다. 근대 한국 사회에서 긍정과 ...
- 2022-12-27
-
- ‘우리’이고자 노력하는 서로 다른 ‘개인’들, 가족
- [The Psychology Times=안혜린 ]영화 「미나리」는 이민자의 땅으로 불리는 미국, 그곳에 뿌리내렸던 ‘1세대 한국인 이민자’들의 삶을 그려낸 이야기이다. ...
- 2022-12-25